후(後, after) 뒤. 다음(창4:8,6:4;마26:64;엡6:13). “예수께서 가라사대 네가 말하였느니라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후에 인자가 권능의 우편에 앉은 것과 하늘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너희가 보리라 하시니”(마26:64)

후견인(後見人, trustee, guardians) 뒤를 보살펴 주는 사람(갈4:2). 한 곳에서만 후견인(갈4:2)으로 번역되어 있고, 대부분 ‘청지기’(눅12:42,16:1,3,8;딛1:7;벧전4:10), ‘맡은 자’(고전4:2)로도 번역되어 있다. 후견인은 허다한 경우에 주인의 두터운 신임을 받는 노예가 채용되었다. 상속인은 아버지의 사후 혹은 부재중에는 전 재산의 소유주가 될 것이지만, 미성년자인 동안은 관리인이나 후견인의 감독 하에 두어져 상속인으로서 권한을 자유로 발휘할 수 가 없다.

후곡(Hukok: 도랑) 아셀 지파가 게르손에게 준 성읍(대상6:75). 일명 ‘헬갓’(수21:31).

후군(後軍, rear guard) 부대의 뒤에 있는 군대(수6:9,13;욜2:20).

후궁 ① (後宮, queen) 왕의 정부인 외의 아내(삼하16:21,22) ② (後宮, harem)궁전의 뒤쪽에 있는 궁전(에2:11).

후대 ① (後代, generation to come, next generation) 뒤의 세대. 앞으로 올 세대(시112:2). 시인은 하나님의 구원을 다음 세대의 오고 오는 자에게 전할 것을 말하고 있다(시71:18,78:4,6) ② (後隊, last) 뒤에 있는 부대(민2:31) ③ (厚待, warm reception) 넉넉하게 대접함(창12:16;시116:7;삼상25:31). “내 영혼아 네 평안함으로 돌아갈지어다 여호와께서 너를 후대하심이로다”(시116:7)

후람(Huram) ① 베냐민의 손자(대상 8:5) ② ‘히람’과 동일인(대하2:3,4:11,8:2,9:10;왕상 5:-) ③ 금속 세공인(대하2;13,14)

후래(Hurai: 고귀한) 가데스 출신으로 다윗의 용사(대상11:32). 일명 ‘힛대’(삼하23:30).

후래사(後來事, future hold) 이후로 일어날 일(사41:23).

후르(Hur: 귀한) ① 미디안의 왕(민31:8). 일명 ‘훌’(수13:21) ② 예루사렘 성벽 중수를 도운 르바야의 아버지(느3:9).

후리(Huri: 천 만드는 자) 갓 자손으로 아비하일의 아버지(대상5:14).

후리다(bewitch) 정신을 어지럽게 하여 꾀다. 납치하다(출21:16;신24:7).

후메내오(Hymoneus: 결혼) 바울이 사탄에게 내어준 사람(딤전1:20;딤후2:17).

후박(厚薄, partiality, fertile or poor) 땅의 기름짐과 거칠음(민13:20).

후밤(Hupham: 해안의 주민을 보호함) 베냐민 자손으로 후밤 사람의 선조(민26:39).

후부(後夫, remarried man, latter husband) 뒤에 맞이한 남편(신24:3).

후비(后妃, queen) 왕의 아내”(왕상11:3,8). ‘왕비’(사49:23)로도 번역되어 있다. ‘후비’는 공식적으로 혼인한 왕비를 가리킨다.

후사 ① (Hushah: 급속) 훌의 자손. 에셀의 아들(대상4:4) ② (Hushath) 다윗의 30용사 중 므분내와 여덟째 장관 십부개의 고향(삼하23:27).③ (後事, heir) 대를 잇는자식(룻4:12;신25:6;히11:7;엡3:6).율법에서는 장자에 대한 재산의 분배율은 다른 자식의 2배로 정해져 있었다(신21:15-17). 모든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구원에 참여하여, 하나님의후사로 되고, 하나님을 ‘아바 아버지’라 부르게 되는 것이다(롬8:15). “믿음으로 노아는 아직 보지 못하는 일에 경고하심을 받아 경외함으로 방주를 예비하여 그 집을 구원하였으니 이로 말미암아 세상을 정죄하고 믿음을 좇는 의의 후사가 되었느니라”(히11:7)

후삼(Husham: 급속) 데만 족속. 요밥의 뒤를 이은 에돔의 왕(창36:34,35).

후새(Hushath: 급속함) ① 다윗의 친구(대상27:33). 아말렉과 싸울 때 모세 의 팔을 들어주어 승리하게 하였다(출17:10) ② 갈렙과 에브랏의 아들(대상2:19) 부살엘의조부(출31:2-) ③ 셈의 손자요 아람의 아들(창10:22).

후생(後生, yet to be born) 뒤에 태어난 사람(시78:6).

후세(後世, the time to come, the future) 뒷세상(시49:13). 죽은 뒤에 오는 세상(사30:8;벧후2:6). 여기서는 종말론적 내세의 뜻으로서보다는 장래의 뜻으로 씌어져 있다. “이제 가서 백성 앞에서 서판에 기록하며 책에 써서 후세에 영영히 있게 하라”(사30:8) “소돔과 고모라 성을 멸망하기로 정하여 재가 되게 하사 후세에 경건치 아니할 자들에게 본을 삼으셨으며”(벧후2:6)

후손(後孫, posterity) 여러 대의 자손(창3:15;17:7;롬4:13,18).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뱀의 머리를 상하게 하는 일은 예수님에 와서 완전히 성취되었다.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너의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 하시고”(창3:15) “아브라함이나 그 후손에게 세상의 후사가 되리라고 하신 언약은 율법으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요 오직 믿음의 의로 말미암은 것이니라”(롬4:13)

후실(後室, second wife) 처음 아내 뒤에 맞이한 아내(신22:30).

후심(Hushim: 강을 건너온 사람, 서두르게 하는 자) ① 단의 아들(창46:23). 일명 ‘수함’(민26:42) ② 아헬의 아들(대상7:12) ③ 사하라임의 아내. 아비둠과 엘바알의 어미(대상8:8).

후예(後裔, discendants, offspring) 대수가 먼 후손들(겔20:5;사19:11;행13:26).

후욕(詬辱, revile, curse) 꾸짖고 욕설하는 일. 하나님의 일과 이름을 훼방함(습2:8;시44:16;고전6:10,5:11). “도적이나 탐람하는 자나 술 취하는 자나 후욕하는 자나 토색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하리라”(고전6:10)

후원(後苑, garden) 대궐 안에 있는 동산(에1:5,7:7,8).

후일(後日, latter days) 뒷날. 앞으로 다가올 세월(창49:1,30:33;딤전4:1). 하나님의 계시된 일이 실현하는 날(단2:28), 메시야의 날을 가리켜 중요하게 씌어져 있다(신4:30). 그리스도의 초림 이후의 때를 가리킨다고 할 것이다(히1:2). “그러나 성령이 밝히 말씀하시기를 후일에 어떤 사람들이 믿음에서 떠나 미혹케 하는 영과 귀신의 가르침을 좇으리라 하셨으니”(딤전4:1)

후진(後陣, rear guard) 맨 뒤에다 친 진(민10:25).

후처(後妻, another wife) 나중에 맞은 아내(창25:1).

후천년설(後千年說, postmillennialism) 천년 후에 그리스도의 재림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천년왕국은, 이 세상에 있어서의 복음의 승리를 가리키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계20:-).

*후천년설의 과정(過程) 복음의 확산으로 악의 점진적 감소→천년왕국→대배교와 대환란(계20:3)→그리스도의 재림→대부활→대심판→새 하늘과 새 땅

후택설(後擇說i, sublapsarianism) 선택설(supralapsatianism)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하나님은 그 영광을 나타내시기 위하여 세계를 창조하시고 타락한 인간들 가운데 많은 사람들을 은혜의 그릇으로 선택하여 그 속죄를 위하여 자기의 외아들인 예수 그리스도를 세상에 보내어 의와 벌을 받게 하셨다는 교리이다. 이 주장은 하나님을 죄의 창조자로 만들 위험이 있다.

후패(朽敗, decay, rot) 썩어 못쓰게 된 것(욥13:28;고후4:16). “그러므로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노니 겉사람은 후패하나 우리의 속은 날로 새롭도다”(고후4:16)

후하다(厚-, many) 넉넉하다(시86:5). “주는 선하사 사유하기를 즐기시며 주께 부르짖는 자에게 인자함이 후하심이니이다”(시86:5)

후회(後悔, attrition, repent, remorse) 이전의 잘못을 깨치고 뉘우치는 일(삼상15:11;고후7:10). ‘후회한다’는 말은 히브리어 ‘니함’이란 단어를 번역한 것이다. 이 단어는 한 가지 뜻이 아니라, ‘가엾다, 동정하다, 위로받다, 후회하다, 슬퍼하다, 안심하다, 편케하다, 한탄한다, 뜻을 돌이킨다’는 등의 다양한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하나님의 후회(後悔) 후회는 하나님께는 있을 수 없는 일인데(민23:19;롬11:29), 하나님께서 사울 왕을 세우신 것을 후회하셨다는 표현은(삼상15:11,35), 하나님의 심정의 후회보다도(사람의 눈에 보이는) 하나님의 행위 및 취급의 변화를 말함이다. 즉 ‘슬퍼하다, 한탄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 경우이다.

*사람의 후회(後悔) 세상의 근심으로(고후7;10)으로, 하나님과 관계없이 자신의 사고나 행위에 대해 스스로 원통해 하며 애석해 하는 것이다(마27:3,4).유다의 뉘우침(후회)은, 그가 배반한 예수께 대하여 그 죄를 뉘우쳐 사하심을 원하여 간 것이 아니라, 자책감에 못이겨 광적 행동으로 나아가, 은전을 성전에 던져 버리고, 자살한 것에 있다(마27:3-5;행1:18).

훅곡(Hukkok: 도랑) 납달리 지파의 성읍(수19:34). 갈릴리 바다의 서북부에 있는 높은 대지의 동단 가버나움의 서쪽 7km 지점에 있는 '야국'과 동일시된다.

훈계(訓戒, instruction, discipline) 타이르는 말(잠1:8,4:1;엡6:4;딛3:10). “내 아들아 네 아비의 훈계를 들으며 네 어미의 법을 떠나지 말라(잠1:8) “또 아비들아 너희 자녀를 노엽게 하지말고 오직 주의 교양과 훈계로 양육하라”(엡6:4)

훈도(訓導, elementary school teacher) 가르치는 사람. 선생(롬2:20).

훈시(訓示, instruction) 가르치어 보임(스10:8).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의할 일을 말함.

훌(Hur: 고귀) ① 모세의 누이인 미리암의 남편(출17:10-12) ② 유다 지파 갈렙의 아들(대상2:19-20). 일명 ‘아스훌’(출31:2) ③ 셈의 손자. 아람의 아들(창10:23) ④ 르바야의 아버지(느3;9).

훌다(Heldah: 두더지) 유대왕 요시아 시대의 여선지로 살롬의 아내(왕하22:8-20).

훌륭하다(graced) 나무랄 곳이 없이 좋다(욥41:12).

훔(Huv) ‘루빔’과 동일시(대하12:3;단11:43;나3:9).

훔다(Humtah) 유다의 성읍(수 15:54).

훔치다(steal) 남의 것을 몰래 가져가다(요12:6). “이렇게 말함은 가난한 자들을 생각함이 아니요 저는 도적이라 돈궤를 맡고 거기 넣는 것을 훔쳐 감이러라”(요12:6)

훕바(Huppah: 닫집, 보호) 다윗시대 제사장(대상24:13).

훕빔(Huppim: 해안 민족) 베냐민의 후손(창46:21;대상7:12). 혹은 ‘므낫세의 후손’(대상7;15).

훗(Hod: 위엄) 아셀 사람 소바의 아들(대상7:37)이며 방백의 두목.

훤화(喧譁, clamour) 시끄럽게 떠듦. 무질서하고 혼란한 상태(사66:6;삼상4:14;막5:39;마9:23). “들어가서 저희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어찌하여 훤화하며 우느냐 이 아이가 죽은 것이 아니라 잔다 하시니”(막5:39)

훼멸(毁滅, destruction) 헐고 깨뜨려 없앰(사10:22;겔13:13;슥11:2).

훼방(毁謗, contempt, blasphemy) 남의 일을 못하게 함(레24:16;대하32:19;마12:31;딛3:2). 특히 성령훼방 죄는 사함 받지 못하는 죄인데(마12:24), 바리새인들처럼 예수께 고의로 거부하고 반항하는 죄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사람의 모든 죄와 훼방은 사하심을 얻되 성령을 훼방하는 것은 사하심을 얻지 못하겠고”(마12:31)

훼상(毁傷, injury) 헐어 상하게 함. 몸에 상처를 냄(삼하12:18).

훼파(毁破, destruction) 헐어서 깨트림(출23:24;겔13:14;삿6:32). “회칠한 담을 내가 이렇게 훼파하여 땅에 넘어뜨리고 그 기초를 드러낼 것이라 담이 무너진즉 너희가 그 가운데서 망하리니 나를 여호와인줄 알리라”(겔13:14)

휘두르다(swung) 마구 두르다(계14:15,16,18). “또 다른 천사가 성전으로부터 나와 구름 위에 앉은 이를 향하여 큰 음성으로 외쳐 가로되 네 낫을 휘둘러 거두라 거둘 때가 이르러 땅에 곡식이 다 익었음이로다 하니”(계14:15) “구름 위에 앉으신 이가 낫을 땅에 휘두르매 곡식이 거두어지니라”(계14:16)

희망의 신학(希望神學, theology of hope) 독일의 J.몰트만에 의해 제기된 기독교 신학의 연구방법. 신앙은 과거의 일이 아니라 미래에 희망이 있는 것이며, 교회의 모든 일 역시 과거를 고수하고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하나씩 이루어나가는 것이다. 이것은 가난한 자, 멸시와 천대받는 자, 억압받는 자, 심지어 세례(침례)받지 않은 자들에게도 실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휘장(徽章, curtain, screen) 성막 입구, 즉 성소에 들어가는 입구에 친 것(출26:36;히10:20). 또 성막의 성소와 지성소 사이를 막기 위해 친 휘장을 가리키고 있다(출27:21). 신약에서는 성전 및 성막의 휘장에 대해 씌어지고(마27:51;눅23:45;히6:19), 그리스도의 육체를 가리켜서도 씌어져 있다(히10:20). 예수께서 십자가에 죽으실 때, 성전의 이 휘장이 위로부터 갈라진 것(막15:38)은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가는 길이, 하나님 편에서 인간에 대하여 열린 것을 상징하고 있다. “아론과 그 아들들로 회막안 증거궤 앞 휘장 밖에서 저녁부터 아침까지 항상 여호와 앞에 그 등불을 간검하게 하라 이는 이스라엘 자손의 대대로 영원한 규례니라”(출27:21) “이에 성소 휘장이 위로부터 아래까지 찢어져 둘이 되니라”(막15:38)

휘장분배(徽章分配) 총회나 노회에서 개회를 선포한 직후, ‘휘장분배’라는 순서가 있어 역대 회장들과 주요 임원들이 일제히 단상으로 올라가 도열하면 이어서 고운 한복을 차려입은 여성들이 등장하여 임원들의 가슴에 꽃을 꽂아 드리는 순서이다. ‘휘장(徽章)이란 신분이나 지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모자나 의복에 붙이는 표를 가리킨다.

휘파람(whistle) 입술 사이로 내는 소리(슥10:8).

휩싸다(wrapped) 휘둘러 감아서 싸다(창38:14).

휴거(携擧, rapture) 땅에 살고 있는 그리스도인이 부활한 그리스도인과 함께 구름 속으로 끌어 올려져 공중에서 주를 영접하게 되는 종말론적 사건(마26:64;살전4:17). 원래 초대교회부터 지금까지의 대환난에 대한 정통교리가 '환난 후 휴거' 교리였다. 환난 전 휴거설은. 19세기 예수회의 뜸씨(누룩)가 근본주의 안에 들어와 널리 퍼진 세대주의로서, 마지막 전쟁(?)에서 아무 대비도 할 필요가 없다고 가르치고, 안심하고 방심케 하여 무장해제시킴으로 참패를 당하게 만들려는 지막 미혹의 역사이다. 그리고, 환난 전 휴거설의 2단계 재림론은 <행1:11>의 말씀과 모순이 된다. <(살전 4:16), (고전15:52), (마24:31)>의 말씀을 한 자리에 두면 '환난 후 휴거'가 정론이다.->공중휴거. “예수께서 가라사대 네가 말하였느니라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후에 인자가 권능의 우편에 앉은 것과 하늘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너희가 보리라 하시니”(마26:64) “그 후에 우리 살아 남은 자도 저희와 함께 구름 속으로 끌어 올려 공중에서 주를 영접하게 하시리니 그리하여 우리가 항상 주와 함께 있으리라”(살전4:17)

휴머니즘(humanism) 인간의 능력과 존엄성, 주체성을 고조하고 강조하는 사상이다. 사람이 사람을 아끼고 사랑하자는 박애사상, 인도주의, 인본주의, 유교의 인(仁) 사상, 우리나라의 인내천 사상과도 공통성을 가진 사상이다. 그러나 성경에서의 휴머니즘은 인본주의로 단정된다. 그래서 휴머니즘의 참뜻은 신본주의, 자연 중심주의, 기술 중심주의 등과 비교, 대조할 때 그 내용이 정확히 파악될 수 있다.

휴식(休息, rest) 일을 멈추고 잠깐 쉼(출16:23). “모세가 그들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셨느니라 내일은 휴식이니 여호와께 거룩한 안식일이라 너희가 구울 것은 굽고 삶을 것은 삶고 그 나머지는 다 너희를 위하여 아침까지 간수하라”(출16:23)

흉갑(胸甲, breast plate) 가슴 부분을 가리는 갑옷(계9:9,17). “이같이 이상한 가운데 그 말들과 그 탄 자들을 보니 불빛과 자주빛과 유황빛 흉갑이 있고 또 말들의 머리는 사자 머리 같고 그 입에서는 불과 연기와 유황이 나오더라”(계9:17)

흉년(凶年, a year of famine ) 농작물이 잘 되지 않은 해(창41:30,36;행7:11;계18:8). 같은 원어가 ‘기근’(창12:10)으로 번역되어 있다. 비는 하나님의 은사인데(렘14:22), 흉년이나 기근은 사람들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로 해석되기도 하고(삼하21:1;왕상17:1;시105:16), 이것은 또한 말세의 징조이기도 하다(마24:7;막13:8;눅21:11;계6:8).

흉배(胸背, breast and back) 가슴과 등(엡6:14;살전5:8). 관복의 가슴과 등 쪽에 붙이는 수놓은 헝겊 조각을 말하기도 한다. “그런즉 서서 진리로 너희 허리띠를 띠고 의의 흉배를 붙이고”(엡6:14) “우리는 낮에 속하였으니 근신하여 믿음과 사랑의 흉배를 붙이고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쓰자”(살전5:8)

흉벽(胸壁, siegework, mound) 성곽의 주위에 사람 가슴 높이만큼 쌓은 담(렘6:6;합1:10;전9:14).

흉악(凶惡, ugly) 성질이 거칠고 사나움(시71:4;창41:19;계21:8;요일2:14). “그러나 두려워하는 자들과 믿지 아니하는 자들과 흉악한 자들과 살인자들과 행음자들과 술객들과 우상 숭배자들과 모든 거짓말 하는 자들은 불과 유황으로 타는 못에 참예하리니 이것이 둘째 사망이라”(계21:8)

흉용(洶湧, billowing) 큰 물결이 세차게 일어남(사51:15;시89:9;출15:10). “나는 네 하나님 여호와라 바다를 저어서 그 물결로 흉용케 하는 자니 내 이름은 만군의 여호와니라(사51:15) “주께서 바다의 흉용함을 다스리시며 그 파도가 일어날 때에 평정케 하시나이다”(시89:9)

흉패(胸牌, breastpiece) 대제사장의 가슴에 다는 표장(출28:30,39:21;레8:8). 흉패에는 네 줄의 보석이 있는데 각 줄에 셋씩 12보석이 있다. 12보석은 12지파이다(출28:15-29). 이는 선택된 성도의 이름이 하늘나라에 있는 생명책에 기록되어 있음(계21:27)을 의미한다. “너는 우림과 둠밈을 판결 흉패 안에 넣어 아론으로 여호와 앞에 들어 갈 때에 그 가슴 위에 있게 하라 아론이 여호와 앞에서 이스라엘 자손의 판결을 항상 그 가슴 위에 둘찌니라”(출28:30)

흉하다(凶-, disfigure) 좋지 못하다(왕상22:18;시112:7;마6:16). “금식할 때에 너희는 외식하는 자들과 같이 슬픈 기색을 내지 말라 저희는 금식하는 것을 사람에게 보이려고 얼굴을 흉하게 하느니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저희는 자기 상을 이미 받았느니라”(마6:16)

흉한 날(the day of trouble) 악인의 재난의 날. 파멸의 날(암6:3).


Address: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77길 49 하림교회 (청담동 10번지)Tel: 02-456-3927Email: haezra@hanmail.net
Copyright 2000 스토리바이블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Nature w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