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者) 사람을 일컫는 말(창21:12,4:15;계22:17;약3:18) ② (尺, measurement of size) 길이의 단위(대상23:29;겔43:13). 약30.3cm.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네 아이나 네 여종을 위하여 근심치 말고 사라가 네게 이른 말을 다 들으라 이삭에게서 나는 자라야 네 씨라 칭할 것임이니라”(창21:12) “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 도다 듣는 자도 오라 할 것이요 목마른 자도 올 것이요 또 원하는 자는 값없이 생명수를 받으라 하시더라”(계22:17)

자갈(bit, bridle) 재갈. 입에 물리는 쇠로 만든 물건(시32:9;잠26:3). “말에게는 채찍이요 나귀에게는 자갈이요 미련한 자의 등에는 막대기니라”(잠26:3)

자갈을 먹이다(put a muzzle) 지껄이지 못하도록 입을 틀어막는 일(시39:1;사37:29;왕하19:28).

자객(刺客, terrorist, assassins) 사람을 몰래 암살하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행21:38). 유대인 극우익분자로 단도를 은밀히 품고 다니면서, 로마관리를 암살할 기회를 노렸다.

자결(自決, kill himself) 자기 목숨을 스스로 끊음(요8:22;행16:27). “유대인들이 가로되 저가 나의 가는 곳에는 너희가 오지 못하리라 하니 저가 자결하려는가”(요8:22)

자고 깨다(sleep and wak, sleep or get up) 잠을 자고, 잠에서 깨어나다(시3:5;렘51:57;막4:27). “저가 밤낮 자고 깨고 하는 중에 씨가 나서 자라되 그 어떻게 된 것을 알지 못하느니라”(막4:27)

자고로(自古-, from early times) 자고이래로. 예로부터 내려오면서(렘28:8).

자고새(partridge) 소리 내어 우는 새(렘17:11). 본문에서는 꼬치꼬치 캐기 좋아하는 이스라엘 사람들의 신앙을 묘사한 것이다. “불의로 치부하는 자는 자고새가 낳지 아니한 알을 품음 같아서 그 중년에 그것이 떠나겠고 필경은 어리석은 자가 되리라”(렘17:11)

자고이래로(自古以來-, old nor ever) 예로부터 내려오면서(욜2:2).

자고하다(自高-, arrogance, exalt) 자기를 스스로 높이다(사2:17;시66:7;고후12:7,11:20).“여러 계시를 받은 것이 지극히 크므로 너무 자고하지 않게 하시려고 내 육체에 가시 곧 사단의 사자를 주셨으니 이는 나를 쳐서 너무 자고하지 않게 하려 하심이니라”(고후12:7)

자금(自今, time on) 지금으로부터(사9:7;계14:13). “또 내가 들으니 하늘에서 음성이 나서 가로되 기록하라 자금 이후로 주 안에서 죽는 자들은 복이 있도다 하시매 성령이 가라사대 그러하다 저희 수고를 그치고 쉬리니 이는 저희의 행한 일이 따름이라 하시더라”(계14:13)

자긍(自矜, self conceit) 스스로를 자랑함(시97:7;렘48:30;롬11:18;딤후3:2). “그 가지들을 향하여 자긍하지 말라 자긍할찌라도 네가 뿌리를 보전하는 것이 아니요 뿌리가 너를 보전하는 것이니라”(롬11:18)

자기(自己, himself) 제 몸(창19:6,:27;눅14:11;엡5:28). “무릇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눅14:11)

자기 기업의 백성(-百姓, a people of his inheritance) 이스라엘에 대한 여호와의 독점적인 관계를 의미하는 표현(신4:20,14:2,7:6). 이스라엘은, 여호와 자신의 ‘소유’(보배)로까지 말해져 있다(출19:5). “너는 너의 하나님 여호와의 성민이라 여호와께서 지상 만민 중에서 너를 택하여 자기의 기업의 백성을 삼으셨느니라”(신14:2)

자기 의(自己 義, own righteousness) 희생과 헌신이 있는 행위(롬10:3). ‘하나님의 의’는 자신을 죽이는 것인데 ‘자기 의’는 자신을 드러낸다.->하나님의 의 “하나님의 의를 모르고 자기 의를 세우려고 힘써 하나님의 의를 복종치 아니하였느니라”(롬10:3)

자기이해(自己利害, self-understanding) 사람이 자기 자신과 자기의 주변과의 관계에 대하여 갖는 기본적인 해석을 가리키는 말이다. 자기의 '밑에 서서'(stand under) 자기를 해석하는 해석, 인간이 행동과 말을 통해서 그 해석을 표현하는 그 해석을 가리킨다.

자녀(子女, sons and daughters) 아들과 딸(렘29:6;사38:19;요1:12;요일3:18). 자녀를 가진다는 것은 하나님의 큰 축복으로 여겼다(시127:3). 자녀가 없으면 고통(삼상1;6)이나 멸시(창16:4)를 당하였다.“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요1:12)

자다(sleep) 생리적 요구로 활동하는 기능이 쉬다(삼상26:7;호7:6;롬13:11;막4:27). “또한 너희가 이 시기를 알거니와 자다가 깰 때가 벌써 되었으니 이는 이제 우리의 구원이 처음 믿을 때보다 가까왔음이니라”(롬13:11)

자는 자(who fall asleep) 죽은 사람(살전4:13,14,5:7). “형제들아 자는 자들에 관하여는 너희가 알지 못함을 우리가 원치 아니하노니 이는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살전4:13) “우리가 예수의 죽었다가 다시 사심을 믿을찐대 이와 같이 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도 하나님이 저와 함께 데리고 오시리라”(살전4:14).

자단하다(自斷-, self determinate) 스스로 결단을 내리다(출18:26).

자라나다(grow, brought up) 자라서 크게 되다(사53:2;고전3:6,7;눅4:16). “나는 심었고 아볼로는 물을 주었으되 오직 하나님은 자라나게 하셨나니, 그런즉 심는 이나 물주는 이는 아무 것도 아니로되 오직 자라나게 하시는 하나님뿐이니라”(고전3:6,7)

자라다(grow) ① 차차 커지다(시90:6;출2:10;막4:32;눅2:52) ② 넉넉하게 되다(살후1:3;벧후3:18). “심긴 후에는 자라서 모든 나물보다 커지며 큰 가지를 내니 공중의 새들이 그 그늘에 깃들일 만큼 되느니라”(막4:32)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항상 하나님께 감사할찌니 이것이 당연함은 너희 믿음이 더욱 자라고 너희가 다 각기 서로 사랑함이 풍성함이며”(살후1:3) “오직 우리 주 곧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저를 아는 지식에서 자라 가라 영광이 이제와 영원한 날까지 저에게 있을찌어다”(벧후3:18)

자랑(boast, pride) 남에게 드러내어 칭찬함(대상16:10;시90:10;요일2:16;약4:16). 소위 일곱 가지 사죄의 첫 번째에 해당하는 죄로서, 많은 신학자들은 이 죄를 모든 죄의 근원으로 꼽는다. 자랑은 단순히 자기가 성취해 놓은 것에 대해 기뻐하는 것(이것이 일반적인 의미의 자랑이다)이 아니라, 인간의 한계와 피조성에 대해 도전적으로 거부하는 것이요, 그리함으로 인간 자신을 하나님의 위치에 까지 올리는 것이다. 바울 신학에서는, 자랑은 신앙과 반대의 개념인데, 이는 신앙이 인간의 삶이 깨어지기 쉬운 것임을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 앞에서 자랑할 만한 아무런 근거도 없다. 교만이 되기 쉬우나 할 만한 자랑의 경우는 하나님을 자랑하는 일이다(고후1:12). “그 성호를 자랑하라 무릇 여호와를 구하는 자는 마음이 즐거울찌로다”(대상16:10) “이는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이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이니 다 아버지께로 좇아 온 것이 아니요 세상으로 좇아 온 것이라”(요일2:16)

자료(資料) 무엇을 하기 위한 재료(사23:18).

자료비평(資料批評) 신약성서의 저자들이 어떠한 편집 경향들을 가지고 기술했는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자루 ① (handle) 창이나 연장의 손잡이(삼하21:19;왕하6:5;신19:5) ② (bag, sack) 곡식이나 과실, 기타 물건을 담을 수 있게 헝겊으로 길고 크게 만든 주머니(창42-44장).

자르다(cut) 동강나게 베다(애2:3;삼하10:4;막2:23). “안식일에 예수께서 밀밭 사이로 지나가실쌔 그 제자들이 길을 열며 이삭을 자르니”(막2:23)

자리 ① (place, seat) 지정한 곳(시41:3;창29:3;눅14:9;행16:33) ② (mat, bed)사람이 앉거나 눕도록 바닥에 까는 물건(시139:8;요5:8,10). “여호와께서 쇠약한 병상에서 저를 붙드시고 저의 병중 그 자리를 다 고쳐 펴시나이다”(시41:3) “너와 저를 청한 자가 와서 너더러 이 사람에게 자리를 내어 주라 하리니 그 때에 네가 부끄러워 말석으로 가게 되리라”(눅14:9) “유대인들이 병 나은 사람에게 이르되 안식일인데 네가 자리를 들고 가는 것이 옳지 아니하니라”(요5:10)

자리옷(garment) 신부의 첫날밤의 증거로 된 옷(신22:17). “비방거리를 만들어 말하기를 내가 네 딸의 처녀인 표적을 보지 못하였노라 하나 보라 내 딸의 처녀인 표적이 이것이라 하고 그 부모가 그 자리옷을 그 성읍 장로들 앞에 펼 것이요”(신22:17)

자마(紫馬, brown horse) 자줏빛 나는 말(슥1:8).

자만(自慢, lies) 스스로 자랑하며 뽑냄(렘23:32,48:26,42).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보라 거짓 몽사를 예언하여 이르며 거짓과 헛된 자만으로 내 백성을 미혹하게 하는 자를 내가 치리라 내가 그들을 보내지 아니하였으며 명하지 아니하였나니 그들이 이 백성에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 여호와의 말이니라”(렘23:32)

자매(姉妹, sister) 손위 누이와 손아래 누이(렘18:9,3:10;막3:35;마19:29). “누구든지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자는 내 형제요 자매요 모친이니라”(막3:35)

자물쇠(lock) 문을 잠그는 장치(느3:3,6,13).

자민(子民, chirdren, people) 백성. 통치자가 자식같이 여겨 사랑하는 국민(사66:8;시149:2).

자백(自白, confession) 뉘우쳐 고백하는 일(겔12:16;요일1:9;롬14:11). 최후의 심판 때 만인이 주 앞에 죄를 자백하게 될 것을 말하고 있다. “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저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모든 불의에서 우리를 깨끗케 하실 것이요”(요일1:9)

자범죄(自犯罪, behaviour sin) ‘본죄’라고도 하며 원죄로 말미암은 인간 본성의 무질서와 결합으로부터 많은 악한 행위가 흘러 나와 이루는 죄로서 하나님을 거스려 율법(계명)을 배척하는 것이다. 결과로는 하나님의 사랑을 잃고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자격을 상실한다. 뿐만 아니라,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자격을 잃고 모든 공로에 가담할 자격을 상실한다. 또 근본적으로 하나님께 향하는 태도를 버리지는 않으나, 하나님을 사랑함을 등한히 하거나 덕행을 거스릴 때 성립한다.->죄

자벽(自辟) 의장이 임의로 어떤 임원을 임명하는 일. 장관이 자기 뜻대로 관원을 추천하여 벼슬을 시키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벽 행위는 각 관아의 우두머리가 아무런 기준도 없이 자기 사람들을 특정한 자리에 대거 기용함으로써 심각한 폐단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 말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 의장이 임의로 어떤 임원을 임명하는 일로 바뀌어 한국 교회는 회의 벽두에 특별위원을 선정하는 경우에 국한하여 사용되고 있다.

자복(自服, make confession) 저지른 죄를 자백하고 복종함. 허물과 죄를 주께 아뢰고 숨기지 않는 일(시32:5;수7:19;막1:5;마3:6). 죄의 해결은 사람끼리는 죄의 해결이 될 수 없다. 하나님께 자복하는 일만이 유일한 해결의 길이다. “내가 이르기를 내 허물을 여호와께 자복하리라 하고 주께 내 죄를 아뢰고 내 죄악을 숨기지 아니하였더니 곧 주께서 내 죄의 악을 사하셨나이다(셀라)”(시32:5) “온 유대 지방과 예루살렘 사람이 다 나아가 자기 죄를 자복하고 요단강에서 그에게 세례를 받더라“(막1:5)

자부(子婦, daughter in law) 며느리(창7:13;룻4:15,2:22).

자비(慈悲, mercy) 남을 깊이 사랑하고 가엾게 여김. 또는 그렇게 여겨서 베푸는 혜택.(출34:6;시103:8;마12:7;눅6:36). 인자와 동의어로서(롬11:22), 그로 인해 신자가 회개로 인도되고(롬2:4), 윤리적 책임으로서 이웃에 대해 행해야 할 덕목의 하나로도 되어 있다(갈5:22;골3:12). 하나님의 사람에 대한 자비는, 하나님께서 진노를 그치시고(신13:17), 무조건으로 긍휼을 베푸심이다. 따라서 인간의 자비의 행위는 아버지이신 하나님의 긍휼하심에 기초하여, 자비한 자로 되라고 명해져 있다(눅6:36). 그리스도를 통하여 인간에게 보여진 것이고 그리스도를 믿는 자의 다른 사람에 대한 자비도 거기에서 출발하는 것이다(눅6:36). “여호와는 자비로우시며 은혜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 하시며 인자하심이 풍부하시도다”(시103:8) “나는 자비를 원하고 제사를 원치 아니하노라 하신 뜻을 너희가 알았더면 무죄한 자를 죄로 정치 아니하였으리라”(마12:7)

자비량(自備糧, pay one's own expense) 길을 떠나거나 여행을 할 때 양식을 가지고 가거나 벌어서 스스로 비용을 부담하는 것(고전9:7). “누가 자비량하고 병정을 다니겠느냐 누가 포도를 심고 그 실과를 먹지 않겠느냐 누가 양떼를 기르고 그 양떼의 젖을 먹지 않겠느냐”(고전9:7)

자비량 선교(自備糧 宣敎, tent-making mission) 다른 문화권 속에서 직업을 가지고 자신의 생활비를 벌면서 동시에 선교하는 사람들을 말한다(행20:32-35). 바울이 자비량 선교를 한 이유를 정리해 보면 ①복음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②스스로 모범을 보이므로 개척된 교회들이 재정적으로나 영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하려고 ③복음전파에 아무 장애가 없게 하기 위해서 ④그리스도인들이 일반 직업에 종사한다는 이유로 영적 사역에 깊이 참여할 수 없다는 변명이 타당치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⑤새 신자들에게 근면한 노동으로 곤경에 처해있는 그리스도인이나 비 그리스도인을 도와야 한다는 점을 가르치고자 ⑥예수 그리스도께 빚졌다는 강한 채무의식 때문에 ⑦예수님의 정신, 선교정신에 부합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자빠지다(fell backward) 뒤로 넘어지다(삼상4:18;사40:30).

자산(赭山, bare mountain) 나무가 없어 바닥이 발갛게 드러난 민둥산(사41:18,13:2;렘3:2). 이교적인 예배가 행해지는 장소로서 비난되어 있다(렘4:11).

자살(自殺, suicide) 스스로 자기 목숨을 끊어(삼하17:23;마27:5), 생명을 잃는 일(출10:17;잠14:32;고후4:11;요8:51)을 가리킨다. 자살(suicide)의 어원은 라틴어의 sui(자기 자신을)와 cædo(죽이다)의 두 낱말의 합성어로서 그 원인이 개인적이든 사회적이든, 당사자가 자유의사(自由意思)에 의하여 자신의 목숨을 끊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서, 타인의 강요가 개입된 것은 자살이 될 수 없다. 자살은 자신을 죽음으로 이끌려는 강한 의도와 그 의도한 바를 구체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생명의 파괴이기 때문에 자기살인(自己殺人)이라 규정할 수 있다. “아히도벨이 자기 모략이 시행되지 못함을 보고 나귀에 안장을 지우고 떠나 고향으로 돌아가서 자기 집에 이르러 집을 정리하고 스스로 목매어 죽으매 그 아비 묘에 장사되니라”(삼하17:23) “유다가 은을 성소에 던져 넣고 물러가서 스스로 목매어 죽은지라”(마27:5)

*자살의 원인(原因) 1.사회학적 원인 자살에 사회가 미치는 영향은 몇 가지로 나누어진다. ①이기적 자살 : 개인이 한 사회에 밀접한 관계를 맺지 못하여 일어난다. ②이타적 자살 : 개인이 사회와 너무 밀접하여 사회적 의무감이 지나치게 강하여 일어난다. ③무통제적 자살 : 갑자기 일어나는 경제적 파탄이나 도덕적 가치의 붕괴 시 일어난다.

2. 심리적 원인 ①뭔가 해결방안을 찾으려는 것이다. ②완벽주의자로 끊임없이 자신을 괴롭히는 의식의 세계를 끝내려는 것이다. ③앞으로 희망도 없고, 도움 받을 데도 없다는 고립감이다.④다른 사람에게 향한 분노가 갑자기 자신에게 화살이 돌아갈 때 발생된다.

3. 생리적 원인 ①조울증, 우울증 등 기분장애이다. ②정신분열병, 알콜 중독 등 약물남용이다.③자살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이다.

4. 성경에서의 원인 성경에서 자살한 사례의 원인을 살펴보면, ①수치심(아비멜렉) ②죄과를 뉘우침(삼손, 가룟 유다) ③모욕감(사울) ④두려움(사울의 병기 든 자) ⑤좌절감(아히도벨, 시므리)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자살 사례(事例) 1. 아비멜렉 여룹바알의 아들로 부친이 죽은 후에 자기의 형제 70인을 죽이고 왕이 되었으나(삿9:5,6), 싸움에서 여인의 맷돌에 맞아 두개골이 깨뜨려져 죽게 되었을 때, 여인에게서 죽었다는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하여 자기의 병기 잡은 소년에게 찌르게 하여 죽었다(삿9:53,54). 성경은 그 악함에 대한 하나님의 갚음이라고 기록되어 있다(삿9:56,57).

2. 삼손 나실인으로(삿13:5,24,25), 이방인 블레셋 여자와 결혼하였다(삿14:-15:8). 하나 님과의 서약을 깨버린 삼손에게서 하나님이 떠나셨다(삿16:16-20). 그는 밧줄에 묶인 채 두 눈이뽑혀 옥중에서 맷돌을 돌리게 되었다(삿16:21-27). 삼손은 자신의 죄과를 깊이 뉘우치고 새로운 힘을 얻어 블레셋의 축제일에 다곤 신전의 기둥을 뽑아 블레셋 사람들 3천명과 함께 죽었다(삿16:28-30).

3. 사울 이스라엘 통일왕국 시대에 첫째 왕으로(삼상10:24,11:15), 길보아산 전투에서 패하여 적군에게 찔리고 모욕당하는 것이 두려워 병기 든 자에게 찌르라 하였으나 두려워하자 자기 칼 위에 엎드려져 죽었다(삼상31:3,4).

4. 사울의 병기 든 자 사울의 죽음을 보고 자기 칼 위에 엎드려져 죽었다(삼상31:5).

5. 아히도벨 다윗 왕을 반역하도록 압살롬을 도운 모략가로(삼하15:12,23), 자기의 모략이 시행되지 못함을 보고 고향으로 돌아가 스스로 목매어 죽었다(삼하17:23).

6. 시므리 엘라 왕의 술 취함을 보고 모반하여 이스라엘 왕이 되었으나(왕상16:9-11), 백성으로부터 정당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성이 함락됨을 보고 왕궁에 불을 놓고 그 가운데서 죽었다(왕상16-18). 성경에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범죄함을 인함이라고 밝혔다(왕상16:19).

7. 가룟 유다 예수의 제자로(마10:4) 예수님을 배반하여 은 30에 팔았다가(마26:14-16), 예수님의 정죄됨을 보고 뉘우쳐 스스로 목매어 죽었다(마27:3-5).

*자살을 극복한 사례(事例) 1.엘리야 이스라엘의 선지자로(왕상17:1), 갈멜산에서 바알 선지자 450명과 종교대결을 하여 이기고 바알 선지자들이 모두 죽였다(왕상18:20-40). 이런 연유로 이세벨이 죽이려함을 알고 생명을 위하여 도망하였으나 고통스러워 로뎀나무 아래 앉아서 죽기를 구하였다(왕상19:1-4). 그러나 여호와의 사자의 도움으로 살아났다(왕상19:7,8).

2. 욥 여호와가 사단에게 욥의 생명을 해하지 말고 무엇이든 시험 해 보라 하여 재산과 자녀를 다 잃고 자신의 몸에는 창질이 나고 세 친구로부터 여러 가지 유혹을받았고(욥1:8-22,4:1,8:1,11:1,7:4-16,42:6), 심지어 아내로부터 자살을 권유받았으나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에 변함이 없었다(욥2:9,10). 욥이 우리에게 보여준 것은 심한 고난 중에서도 하나님을 원망하지 않고. 낙심하지 않고 유혹을 받지 않고 스스로 위로 받고. 끝까지 인내함이다(약5:11)

3. 간수 : 바울과 실라를 옥에 가두고 지키던 간수가(행16:23-26) 자다가 깨어 옥문들이 열린 것을 보고 죄수들이 도망한 줄 알고 자결하려 하였다(행16:27,28). 바울이 만류하여 도망하지 않았음을 알리자 구원을 청하여 온 가족이 세례를 받았다(행16:28-34).

*자살을 하지 않아야 되는 이유 ①하나님께서 살인을 금하시기 때문이다(출20:13;삼하12:14;요일3:15). ②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기 때문이다(창1:26,27,9:6) ③생명의 주인은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창2:7;용33:4;시21:4,36:9;행17:15) ④생사를 주관하시는 분은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신32:39;삼상2:6,7;욥1:21;시68:20). ⑤그리스도인의 몸은 그리스도의 것이기 때문이다(행20:28;고전6:19,20;엡5:29,30;벧전2:9). ⑥복음이 훼손되기 때문이다(요3:16,10:10). ⑦예수님의 지상 명령에 불순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창1:28;마18:19-29;갈2:20). ⑧성도의 지체를 불의의 병기로 죄에게 주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롬6:13). ⑨하나님께로서 난 자(성도)는 믿음으로 세상을 이겨야 하기 때문이다(요일5:4). ⑩성도의 지체를 불의의 병기로 죄에게 주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롬6:13).⑪성도는 인내로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 믿음을 지키는 자이기 때문이다(계14;12),

*신학적인 관점(觀點) ①자살은 인간은 창조주가 아니라 피조물이라는 신앙과 정면으로 충돌한다(창1:27;고전6:19). 자살은 하나님의 형상을 파괴하는 행동이다(창9:6;롬8:29;골3:10). ③기독교의 복음의 핵심을 정면으로거스르고 도전하는 행위이다(롬1;16,17). ④하나님의 은혜와 그리스도안에 있는 소망을 거부하는 행동이다(롬5;8;엡2;8;고전13:13).

*신학자들의 인식(認識) ①자살자는 살인자다. 인간이 세상에 태어날 때 자의적이 아닌 것처럼, 세상을 떠날 때도 하나님의 명령이 있어야 떠날 수 있다(락탄티우스,Lactantius, 250-317).②자살은 육체를 더럽히는 행동이 아니라 영혼을 더럽히는 행동이다(어거스틴,Augustine, 354-430). ③자살은 첫째, 자기를 사랑하라는 자연법을 거역하는 행위며, 둘째, 공동선과 단체에 손해를 끼치거나 모독이 될 수 있으며, 셋째, 생명에 대해서 절대권을 가지고 행사하는 하나님의 권위를(신32:39) 침해하는 행동이다(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1274) .

*구원의 관계(關係) 하나님은 우리 죄인을 사랑하사 독생자 예수를 이 땅에 보내시고 십자가에 피 흘려 죽게까지 하시면서 우리의 모든 죄를 사하여 주셨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었다. 그것도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닌 하나님의 선물이었다. 그런데 자살로 하나님의 형상을 파괴하고, 하나님의 계명을 어겼다. 하나님의 은혜와 그리스도안에 있는 소망을 거부했다. 그런데도 구원을 해주신다는 생각은 공의의 하나님이심을 거부하는 또 하나의 죄이다. 자살로 구원받는 경우에는 하나님의 허락으로(삿16:28-29), 주님을 위하여(눅9:24), 친구를 위하여(요15:13), 형제들을 위하여(요일3:16)로 목숨을 버리는 것을 성경에서 예외로 허용하고 있을 뿐이다. 즉 순교와 순직의 경우이다.그 외의 이유로 자살한 신자는 처음부터 구원받지 않았다. 구원을 받지 않았다면 취소될 구원조차 없다. 평소의 신앙생활 모습을 보고 제 삼자의 눈에는 구원받은 것처럼 비췰지 몰라도 사실은 하나님의 구원을 받지 않은 것이다. 구원의 여부는 오직 하나님의 권능에 속한다. 인간의 잣대로는 하나님의 권능을 헤아릴 길이 없다. 그러나 다행인지 하나님께서 주님을 통하여 그 비밀의 일부를 드러내셨다. 주님께서 신자의 최종적인 열매로 판단하신다고하셨다"(마7:16-21). 따라서 자살한 신자는 처음부터 구원받지 않았다.

자색(紫色, purple) 짙은 남빛에 붉은 빛을 띤 빛(삿8:26;출26:1;막15:20;눅16:19). 이 빛의 베나 실은 극히 고가의 것이고(에1:6), 이 염료로 염색된 의복은 왕족, 귀족, 고관이 착용했다(삿8:26;에8:5). “희롱을 다한 후 자색 옷을 벗기고 도로 그의 옷을 입히고 십자가에 못 박으려고 끌고 나가니라”(막15:20)

자선남비(慈善-, alms basin) 1891년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에서 그 곳의 구세군 사관으로 있던 ‘셉 맥피’ 정위는 도시 빈민들과 갑작스럽게 재난을 당한 1000여명을 먹여야만 했다. 그는 그들을 먹일 방법이 없어서 새벽까지 기도하면서 고민을 했다. 그러다가 한 가지 기발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것은 옛날 영국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사용한 적이 있는 방법이었다. 그는 오클랜드 부두로 나가서 주방에서 사용하던 큰 쇠솥을 내걸었다. 그리고 그 솥 위에 다음과 같이 써서 붙였다. “이 국솥을 끊게 합시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그는 성탄절에 불우한 사람들에게 따뜻한 식사를 제공할 만큼의 기금을 마련할 수 있었다. 재난을 당한 이웃을 돕기 위해서 새벽까지 기도하면서 시도했던 이러한 일은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실시하는 구세군 자선냄비의 출발점이 되었다.

자세(姿勢) 몸가짐(벧전5:3). “맡기운 자들에게 주장하는 자세를 하지말고 오직 양 무리의 본이 되라”(벧전5:3)

자세히(minutely) 아주 작은 것까지 구체적이고 분명하게(왕상3:21;삼상20:6;눅24:27;마2:8). “이에 모세와 및 모든 선지자의 글로 시작하여 모든 성경에 쓴바 자기에 관한 것을 자세히 설명하시니라”(눅24:27)

자손(子孫, son, seed) 아들 딸 및 손자, 또는 그 이하로 차례로 태어나는 후손(창16:10;신1:28;갈3:29,3:16). 지파나 족속을 의미하기도 하였다(대상6:24;창10:20). “너희가 그리스도께 속한 자면 곧 아브라함의 자손이요 약속대로 유업을 이을 자니라”(갈3:29)

자수(刺繡, exbroidery) 헝겊이나 천에 색실로 그림이나 글자 등 무늬를 놓음. 성막의 문(출26:36,27:16), 대제사장의 의복(출28:39) 등에 수를 놓았다(출35;35).

자수정(紫水晶, amethyst) 자주빛의 수정(출28:19,39:12;계21:20). 대제사장의 흉패, 예루살렘 벽의 기초, 구슬 등에 씌었다.

자식(子息, son) 아들과 딸(시127:3,128:3;마7:11;벧후2:14). “자식은 여호와의 주신 기업이요 태의 열매는 그의 상급이로다”(시127:3). “너희가 악한 자라도 좋은 것으로 자식에게 줄줄 알거든 하물며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 구하는 자에게 좋은 것으로 주시지 않겠느냐”(마7:11)

자신(自身, yourselves) 제 몸. 자기(단9:19;창35:2;고후13:5;롬13:9). “너희가 믿음에 있는가 너희 자신을 시험하고 너희 자신을 확증하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너희 안에 계신 줄을 너희가 스스로 알지 못하느냐 그렇지 않으면 너희가 버리운 자니라”(고후13:5)

자애(慈愛, charity, kindness) 친절한 태도나 행동(창20;13;룻2;20). 하나님의 자비(시23;6), 사람들 간의 사랑(행28;2;벧후1;7), 선함(롬3;12) 등의 의미로도 씌었다.

자약(自若, self possess) 큰일을 당하여도 놀라지 아니하고 평상시와 같이 침착함(욥4:23).

자여손(子與孫, son and a grandson) 아들과 손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출34:7).

자연(自然, nature) 인력을 가하지 않은 천연 그대로의 상태. 본성(롬2:14;고전,11:14), 성품(벧후1:4), 본질상(갈4:8,엡2:3), 본래(롬2:27;갈2:15), 원가지(롬11:21) 등으로 번역하고 있다.

자연계시(自然啓示, natural revelation) 특별계시와 구별하여 창조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를 말할 때 때때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이렇게 사용될 때 이것은 ‘일반계시’와 동의어이다.->일반계시. 자연신학

자연신론(deism) 유신론, 다신론, 범신론과 구벌되어 우주를 창조하셨으되 그것을 간섭하지 않으시는 인격적 신의 존재를 믿는 교설이다.

자연신학(自然神學, natural theology) 신에 관한 인식을 예수 그리스도에 직접 의존하지 않고, 인간 이성의 능력만으로 탐구하려고 하는 그리스도교 신학의 한 부문이다. “은총은 자연을 파괴하지 않고 이를 성취시킨다"고 하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말이 자연신학의 전형적인 사고방식을 보여 준다.

자연주의(自然主義, naturalism) 일반적으로 자연을 초월하는 어떠한 실재의 존재도 부인하는 견해이다. 이는 자연과 독립된 어떤 존재나 신을 긍정하는 초자연주의와 대립된다.

자연히(自然-) 저절로(눅21:30). “싹이 나면 너희가 보고 여름이 가까운 줄을 자연히 아나니”(눅21:30)

자욱하다(covered) 연기나 안개 등이 잔뜩 끼어 있는 정도가 매우 심하다(출19:18).

자원(自願, willing, initiative) 스스로 원함(느11:2;시51:12;벧전5:2;고후8:17). “너희 중에 있는 하나님의 양 무리를 치되 부득이함으로 하지 말고 오직 하나님의 뜻을 좇아 자원함으로 하며 더러운 이를 위하여 하지 말고 오직 즐거운 뜻으로 하며”(벧전5:2)

자원하는 예물(-禮物, freewilloffering) 경건심에서 임의로 드려지는 예물(레7:16;출36:3;신23:23). ‘낙헌제’로도 번역되어 있다(암4:5). “네 입에서 낸 것은 그대로 실행하기를 주의하라 무릇 자원한 예물은 네 하나님 여호와께 네가 서원하여 입으로 언약한대로 행할찌니라”(신23:23)

자위(自慰 ,onanism) 스스로 생식기를 자극하여 성적 쾌감을 얻는 것. 수음. 예수님이 음욕만 품어도 간음한 것이라고 했을 때에 아직 간음이라는 행위는 하지 않았지만 생각한 그 자체로 간음이 된다는 뜻이다(창38:8-10;마5:28). 또한 육체의 소욕은 성령을 거스리는 일이다(갈5:17-21). 따라서 자위행위는 죄이다.

자유(自由, freedom, liberty) 외부적인 구속이나 무엇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자기 마음대로 행동함. 또는 그런 상태((신15:12;레25:10;갈5:13;약1:25). 성경에 있어서의 자유는, 무엇보다도 구원이라든가 구속 등의 개념 내용을 가리키고 있다. 바울은 ‘그리스도께서 우리로 자유케 하려고 자유를 주셨으니(갈5:1)’라고 말하고 있는데, 무엇보다도 이것은 죄와 율법에서의 자유(해방)이고(갈4:21-31;롬7:3;고전7:39), 죄와 죽음, 허무와 멸망에서의 자유(롬6:18,20,22,8:2,21)이다. 이 자유는 그리스도를 믿고, 그 세례를 받은 자에게 성령의 역사에 의해 이 세상의 한가운데서 현실로서 주어진다(고전9:1,19,10:29;고후3:17;갈2:4). 성경에서의 자유의 특징은, 사회적 정치적 자유라기보다, 내적 영적이고, 죄와 율법에서의 자유, 신앙인의 자유, 인간으로서의 근본적인 자유를 명시하고 있다. “형제들아 너희가 자유를 위하여 부르심을 입었으나 그러나 그 자유로 육체의 기회를 삼지 말고 오직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하라”(갈5:13)

자유신학(自由神學, liberation theology)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정통주의 신학자들과는 달리 이성을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성서에 나온 내용이라도 이성에 맞지 않는다면 거부하였다. 그리고, 예수를 완전한 인간이자 도덕적인 이상향으로 생각했다. 민중신학, 해방신학의 유형이다.

자유의 율법(律法, law that gives freedom) 사람을 자유케 하고 생명과 축복을 가져다주는 ‘성령의 법’을 말한다(약2:12;롬8:2). “너희는 자유의 율법대로 심판 받을 자처럼 말도 하고 행하기도 하라”(약2:12)

자유의지(自由意志, free will) 하나님이 사람들에게 선과 악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주시고, 선과 악을 선택해서 행할 수 있도록 주신 의지(신30:19;요7:17). 어떠한 외부적 영향 없이 인간 스스로가 구원과 선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다. 그러나 인간의 자유는 하나님이 정해 주신 범위(창2:16,17) 안에서만 자유를 누릴 수 있다. 제한된 범위 안에서 자유를 주심으로 인간이 창조주가 아니라, 피조물이라는 것을 알게 하셨다(창2:16,17).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에게 명하여 가라사대 동산 각종 나무의 실과는 네가 임의로 먹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정녕 죽으리라 하시니라”(창2:16,17)

*자유의지를 제한하는 요소(要素) 다음 네 가지가 있다. ①자연법칙(自然法則) : 하나님은 세상을 만드시고 그 만물들이 존재될 수 있는 자연법칙을 부여하셨다. 모든 만물은 이러한 자연 법칙을 따라서 운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인간 역시 자연법칙에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②양심(良心) : 하나님은 우리가 우리의 위치에 알맞는 삶을 살 수 있도록 그 원리를 우리 마음 안에 심어 놓으셨다. 성경은 이것을 ‘양심’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 양심은 자유 의지를 잘못 사용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③십계명과 율법(律法) : 우리 양심은 인간의 타락으로 인해 많은 부분이 손상이 되었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우리에게 보편적인 양심의 법을 주셨다. 십계명과 율법은 우리가 우리의 자유 의지를 어떻게 사용할 때에 올바른 삶을 살 수 있는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④하나님의 예정(豫定) : 하나님은 인간에게 자유 의지를 주셨지만, 일정한 부분에서 미리 인간의 역사를 섭리하고 계획해 놓으셨다. 하나님은 우리의 자유 의지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섭리하면서 자신의 뜻을 이루어 가신다.

자유인(自由人, freeman) 노예와 대비되는 개념. 로마와의 전쟁에서 포로로 되었다가, 그 후 해방된 유대인의 한 무리(골3:11).

자유자(自由者, freeman) 죄와 율법에서 해방된 사람(고전7:22,12:13;갈4:26). “주 안에서 부르심을 받은 자는 종이라도 주께 속한 자유자요 또 이와 같이 자유자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은 자는 그리스도의 종이니라”(고전7:22) “오직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자니 곧 우리 어머니라”(갈4:26)

자유주의(自由主義 liberalism) 17∼18세기 시민혁명기에 등장한 정치·경제·사회 사상. 절대군주의 억압에서 해방되는 것을 희구(希求)하여, 근대 시민 계급이 인간은 어느 무엇에도 구속되지 않고 자기의 행복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유로이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 사상이다. 따라서 자유주의는 근대민주주의사상사 전체를 일관하는 가장 기본적인 사상원리라 할 수 있다.

자유주의 신학(自由主義神學, ,liberal theology) 후기 계몽주의적 신학사조로 신학을 신학문에 조화시키려는 것이다. 자유주의신학은 성경의 계시와 영감을 믿는 역사적인 교리들은 부인하고 성경에 대한 비판적 연구들을 더 신뢰한다. 때로는 근대주의(Moernism)를 의미하기도 한다. 자유주의 신학이 지닌 핵심적 특징은 성경의 문자무오설을 용납하지 않고 비평적 성경연구방법을 필수적인 것으로 주장한다. 또 현대 과학사상과 대립하는 보수적 전통 신학을 비판하고 진화론 등 자연과학 사상을 수용한다. 또 인간 본성과 역사의 발전에 대하여 매우 낙관적이며 초월대신에 내재 원리를 더 강조하는 인본주의적 신학, 혹은 인간 중심적 윤리적 기독교 해석, 문화적 개신교를 강조한다는 점이다.

자유하는 여자(-女子, free woman) 아브라함의 본처 사라(갈4:23,30,31). 이것은 ‘위에 있는 예루살렘’(그리스도교)과 ‘시내산’(유대교)과의 대비에 씌어지고(갈4:26), 복음과 율법과의 관계의 설명에 원용되어 있다. 아브라함의 본처 사라는 ‘자유’를, 여종 하갈은 ‘속박’을 대표한다. “계집종에게서는 육체를 따라 났고 자유하는 여자에게서는 약속으로 말미암았느니라”(갈4:23) “그런즉 형제들아 우리는 계집 종의 자녀가 아니요 자유하는 여자의 자녀니라”(갈4:31)

자의(自意, his own, spontaneous) 스스로의 생각이나 의견(레22:21;단8:12;요16:13;몬1:14).

자자(刺字, branding) 몸에 글자를 새겨 넣은 것. 얼굴이나 팔뚝의 살을 따고 홈을 내어 먹물로 죄명을 찍어 넣던 벌(사3:24). 이스라엘 부인들에 대한 심판에 관련하여 인용하고 있다.

자자손손(子子孫孫, children and grandchildren) 자손의 여러 대(왕하17:41;잠13:22).

자정(紫晶, amethyst) 새 예루살렘 성곽 토대의 열두 번째 기초석으로 씌어진 보석(계21:20).

자제(自制, self control) 감정을 스스로 억제함(잠25‘28).

자족(自足, being content) 주어진 것에 만족함(빌4:11). 어떤 환경에도 그리스도로 만족하는 것을 말한다(빌4:13). “내가 궁핍하므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형편에든지 내가 자족하기를 배웠노니”(빌4:11)

자존(自尊, self import!ance) 스스로 자기를 높임. 성경에 적그리스도를 가리키고 있다(살후2:4). “저는 대적하는 자라 범사에 일컫는 하나님이나 숭배함을 받는 자 위에 뛰어나 자존하여 하나님 성전에 앉아 자기를 보여 하나님이라 하느니라”(살후2:4)

자존성(自存性, aseity) 다른 것으로부터 유래한 존재, 혹은 다른 것에 의존해 있는 존재와 대조되어 스스로로부터 유래한 존재를 말한다. 따라서 고전적 신학에 있어서는 하나님만을 가리켰다.

자주 ① (紫朱, purple) 짙은 남빛에 붉은 빛을 띤 색(단5:29;계17:4,9:17), 또는 그것으로 만든 옷(단5:7). 왕실, 권력, 부유의 색으로 여겨졌다. 두아디라 성의 루디아는 이 자주 장사였다(행16:14). ② (often) 여러 번 되풀이하여(잠25:17,29:1;막9:22;마17:15). “너는 이웃집에 자주 다니지 말라 그가 너를 싫어하며 미워할까 두려우니라”(잠25:17) “귀신이 저를 죽이려고 불과 물에 자주 던졌나이다 그러나 무엇을 하실 수 있거든 우리를 불쌍히 여기사 도와 주옵소서”(막9:22)

자주옷(紫朱-, purple clothes) 짙은 남색에 붉은 빛을 띈 옷(단5:7,16,29). 바사인 중에 고관들이 입었다.

자주자(自主者, free man) 무엇에도 구속되지 않은 사람(갈3:28;계6:15).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주자나 남자나 여자 없이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갈3:28)

자주자주(again and again) 같은 일을 연달아 되풀이함(애3:3;렘6:9;욥10:17).

자주장사(紫朱-, dealer in purple) 짙은 남빛에 붉은 빛을 띤 옷감을 파는 사람(행16:14). “두아디라성의 자주 장사로서 하나님을 공경하는 루디아라 하는 한 여자가 들었는데 주께서 그 마음을 열어 바울의 말을 청종하게 하신지라”(행16:14)

자책(自責, conscience) 자기의 잘못을 스스로 꾸중함(삼하24:10;고전4:4). “내가 자책할 아무 것도 깨닫지 못하나 그러나 이를 인하여 의롭다 함을 얻지 못하노라 다만 나를 판단하실 이는 주시니라”(고전4:4)

자천(自薦, self recommend) 자기가 자기를 천거함(고후5:12,6:4,3:1). “우리가 다시 너희에게 자천하는 것이 아니요 오직 우리를 인하여 자랑할 기회를 너희에게 주어 마음으로 하지 않고 외모로 자랑하는 자들을 대하게 하려 하는 것이라”(고후5:12)

자청(自請, invites) 스스로 청함(삼상3:13;잠14:3,18:6). “미련한 자는 교만하여 입으로 매를 자청하고 지혜로운 자는 입술로 스스로 보전하느니라”(잠14:3)

자체(自體, itself) 자신. 그 본체(약2:17). “이와 같이 행함이 없는 믿음은 그 자체가 죽은 것이라”(약2:17)

자취 ① (remains) 남아있는 자국(신12:30;애4:18;벧전2:21;롬4:12) ② (自取, brought this on yourselves) 스스로 만들어서 그렇게 됨(렘2:17;롬13:2;삼하16:8). “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입었으니 그리스도도 너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너희에게 본을 끼쳐 그 자취를 따라 오게 하려 하셨느니라”(벧전2:21) “그러므로 권세를 거스리는 자는 하나님의 명을 거스림이니 거스리는 자들은 심판을 자취하리라”(롬13:2)

자칭(自稱, will call) 스스로 일컬음(사44:5;렘29:27;계3:9,2:9). “보라 사단의 회 곧 자칭 유대인이라 하나 그렇지 않고 거짓말하는 자들 중에서 몇을 네게 주어 저희로 와서 네 발 앞에 절하게 하고 내가 너를 사랑하는 줄을 알게 하리라”(계3:9)

작다(least) 기준에 미치지 못하다((욥15:11;잠17:14;마5:19;눅16:10).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 계명 중에 지극히 작은 것 하나라도 버리고 또 그같이 사람을 가르치는 자는 천국에서 지극히 작다 일컬음을 받을 것이요 누구든지 이를 행하며 가르치는 자는 천국에서 크다 일컬음을 받으리라”(마5:19)

작대기(rod) 긴 막대기(사28:27). 소회향을 떠는 데 쓰는 것으로 인용되어 있다.

작벌(斫伐, felling) 나무를 찍어 냄(신20:19,20;사14:8).

작살(fishing spear) 어획용 도구(욥41:7,26). 작대기 끝에 뾰족한 쇠를 박아서 물고기를 찔러 잡도록 되어 있다.

작은 글씨 ->성경의 작은 글씨

작은 딸(younger daughter) 맏딸이 아닌 딸(창19:35,38,29:18).

작은 배(boat) 주로 풍랑이 없는 곳에서 이용하는 배(막3:9;눅5:2;요6:22,23).

작은 아들(younger son) 맏아들이 아닌 아들(창9:24,27:15,42).

작은 야고보(James the younger) 마리아의 아들, 요세의 형제(막15:40).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행1:13;마27:56).->야고보

작은 일(small matter) 작은 일거리를 말하고, 광야에서 모세의 재판을 보고 있던 그의 장인 이드로는, 작은 일이면 천부장, 백부장 등을 택하여 맡겨 처리케 했다(출18:13-27).

작은 창(-槍, dart, javelin) 공격용 무기의 하나. 찌르는 무기인 '창'에 대해 던지는 무기였다(욥39:23;삼하18:14).

작정(作定, decree) 일을 마음으로 결정함(잠216:33,9:26;행13:48;고전2:2). 하나님의 돌이킬 수 없는 영원한 결정을 뜻한다. 하나님은 영원한 작정을 통하여, "가장 먼 영원으로부터 그가 하실 일을 정해 놓으셨고, 현재는 그의 능력으로 그가 정하신 것들을수행하신다..."(칼빈). 그러므로 영원하신 작정은 칼빈주의의 예정(predestin-ation)과 작정 교리의 기초가 되었다. “사람이 제비는 뽑으나 일을 작정하기는 여호와께 있느니라”(잠16:33) “이방인들이 듣고 기뻐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찬송하며 영생을 주시기로 작정된 자는 다 믿더라”(행13:48)

잔(盞, cup) 음료수를 따라 먹는 작은 그릇(창44:17,40:11;눅22:20;고전11:27). 기쁨이나 쓰라린 경험(시11:6;사51:17;겔23:33;마10:42), 그리스도의 고난(마20:22,23;막10:38,39;눅22:42;요18:11)에 잔이라는 말이 씌어져 있다. “저녁 먹은 후에 잔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눅22:20)

*잔의 상징적 의미(意味) 잔은 자신에게 주어진 인생을 의미하였고, 그 잔에는 하나님의 축복 도는 저주가 담길 수 있다고 보았다(시23:5). ①구원의 잔(시116:13), ②분노의 잔(사51:17), ③소득의 잔(시11:6), ④위로의 잔(렘16:7), ⑤진노의 잔(렘25:15), ⑥축복의 잔(고전10:160 등으로 묘사 되었다.

잔나비(monkey. ape) 원숭이(왕상10:22;대하9:21). 팔레스타인에는 원숭이가 없었지만 애굽에서는 원숭이가 발견된다. 이곳에서는 원숭이가 신성시 되었다.

잔디(turf, grass) 조경으로 널리 쓰이는 풀(마14:19;요6:10;막6:39). 예수께서 5천명을 급식하면서 잔디 위해 앉혔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이 사람들로 앉게 하라 하신대 그 곳에 잔디가 많은지라 사람들이 앉으니 수효가 오천쯤 되더라”(요6:10)

잔뜩(fill) 꽉 차도록. 미치는 데까지 힘껏(사56:12;렘13:13).

잔멸(殘滅, destory) 모두 없어짐(렘25:38;행8:3).

잔인(殘忍, cruel) 인정이 없고 아주 모짊(잠11:17,12:10;렘6:23). “인자한 자는 자기의 영혼을 이롭게 하고 잔인한 자는 자기의 몸을 해롭게 하느니라”(잠11:17)

잔잔하다(calm) 물결이 가라앉아 조용하다(욘1:12;시107:29;막4:39;눅8:24). “예수께서 깨어 바람을 꾸짖으시며 바다더러 이르시되 잠잠하라 고요하라 하시니 바람이 그치고 아주 잔잔하여지더라”(막4:39)

잔치(feast) 경사로 인해 음식을 차려놓고 손을 청하여 즐기는 일 또는 그 모임(삿14:10;왕상3:15;마25:10,23:6). 탕자가 돌아온 것을 기뻐하여 잔치를 베푼 것이 보여진다(눅15:24).

잔포(殘暴, crule) 잔인하고 포악함(단9:27). “저희가 사러 간 동안에 신랑이 오므로 예비하였던 자들은 함께 혼인 잔치에 들어가고 문은 닫힌지라”(마25:10)

잔포자(殘暴者, the crule) 잔인하고 포악한 사람(잠5:9).

잔학(殘虐, violence) 몹시 모질고 악함(렘30:14,51:35).

잔해(殘害, destruction) 사람과 물건을 마구 해침(창49:5;합2:17;행9:21;갈1:13). “듣는 사람이 다 놀라 말하되 이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이 이름 부르는 사람을 잔해하던 자가 아니냐 여기 온 것도 저희를 결박하여 대제사장들에게 끌어가고자 함이 아니냐 하더라”(행9:21)

잔혹(殘酷, unyielding, ruthlessly) 잔인하고 혹독함(아8:6;사13:9;욥30:21). “너는 나를 인 같이 마음에 품고 도장 같이 팔에 두라 사랑은 죽음 같이 강하고 투기는 음부 같이 잔혹하며 불 같이 일어나니 그 기세가 여호와의 불과 같으니라”(아8:6)

잘(fully, fine) 옳고 바르게. 아주 적절하게. 만족스럽게(출19:5;렘1:12;딤전6:2;막7:9). “믿는 상전이 있는 자들은 그 상전을 형제라고 경히 여기지 말고 더 잘 섬기게 하라 이는 유익을 받는 자들이 믿는 자요 사랑을 받는 자임이니라 너는 이것들을 가르치고 권하라”(딤전6:2)

잘되다(go well) 좋게 되다(시112:5;전8:13;요삼1:2;엡6:3). “은혜를 베풀며 꾸이는 자는 잘 되나니 그 일을 공의로 하리로다”(시112:5) “사랑하는 자여 네 영혼이 잘 됨같이 네가 범사에 잘되고 강건하기를 내가 간구하노라”(요삼1:2)

잘못(wrong, erred) 잘하지 못한 짓(삼상26:21;삼하6:7;약4:3;요18:23).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함이니라”(약4:3)

잘 생기다(elite) 모양이 훌륭하게 이루어지다(겔23:7).

잘 하다(well done) 훌륭하게 하다(마25:21,23;갈5:7). “그 주인이 이르되 잘 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작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내가 많은 것으로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예할찌어다 하고”(마25:23)

잠(sleep) 자는 상태(창2:21,41:5;고전15:20;눅8:23). 죽음에 대한 은유적인 표현으로도 쓰고 있다(행7:60).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을 깊이 잠들게 하시니 잠들매 그가 그 갈빗대 하나를 취하고 살로 대신 채우시고(창2:21) “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고전15:20)

잠간(shot time) 잠깐. 짧은 시간(삼상9:27;시90:5;고후4:18;약4:14;막4:17). “우리의 돌아보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간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니라”(고후4:18). “내일 일을 너희가 알지 못하는도다 너희 생명이 무엇이뇨 너희는 잠간 보이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약4:14).

잠그다 ① (locked) 여닫을 수 없도록 만들다(삿3:23,9:51;계20:3) ② (dipped) 속에 넣어 젖게 하다(왕하5:14;시68:23).

잠기다 ① (locked) 여닫을 수 없게 되다(행5:23) ② (touched, sink) 속에 넣게 되다(수3:15;눅5:7). “가로되 우리가 보니 옥은 든든하게 잠기고 지킨 사람들이 문에 섰으되 문을 열고 본즉 그 안에는 한 사람도 없더이다 하니”(행5:23)

잠깐(little while) 매우 짧은 동안(히10:37). “잠시 잠깐 후면 오실 이가 오시리니 지체하지 아니하시리라”(히10:37)

잠시(shot time) 잠깐 동안(사54:8;민4:20;마13:21;고후4:17). “그 속에 뿌리가 없어 잠시 견디다가 말씀을 인하여 환난이나 핍박이 일어나는 때에는 곧 넘어지는 자요”(마13:21)

잠시간(little while) 짧은 시간(욥24:24;렘4:20).

잠시 잠깐(in just a very little while) 매우 짧은 시간(히10:37). “잠시 잠깐 후면 오실 이가 오시리니 지체하지 아니하시리라”(히10:37)

잠언(箴言, proverbs) 교훈이 되거나 경계가 되는 짧은 말(왕상4:32;잠1;1;전12:9).

잠언(잠, Proverbs) //1.저자-대부분이 솔로몬의 저작(1-9장,10:1-22,16:25-29장)이나, 아굴(30장)과 르무엘(31장)의 잠언도 포함됨 //2.기록연대-대부분 솔로몬 재위 기간(B.C.970-931)에 쓰여지고, 모든 부분이 히스기야 재위 기간(B.C.728-697)에 정리되었으므로 B.C.950-700년경으로 보여짐 //3.기록목적-가장 고상한 지식, 즉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삶이 무엇인지 깨달아 이를 실천하도록 함이다 //4.내용개요-①지혜에 대한 찬양(1:1-9:18) ②솔로몬의 잠언들(10:1-29:27) ③아굴의 잠언(30:1-33) ④르무엘 왕의 어머니가 주는 훈계와 현숙한 여인에 대한 찬양(31:1-31).

잠자는 자(those who have fallen asleep) 그리스도인이면서 빛을 발하지 않는 사람(고전15:18,20;엡5:14). “또한 그리스도 안에서 잠자는 자도 망하였으리니”(고전15:18) “그러므로 이르시기를 잠자는 자여 깨어서 죽은 자들 가운데서 일어나라 그리스도께서 네게 비취시리라 하셨느니라”(엡5:14)

잠잠하다(remained silent) 아무 소리없이 조용하다(왕하2:3,5;시35:22;전3:7;막4:39;행11:18). “예수께서 깨어 바람을 꾸짖으시며 바다더러 이르시되 잠잠하라 고요하라 하시니 바람이 그치고 아주 잔잔하여지더라”(막4:39)

잠잠히 사랑하다(quiet love) 말없이 바라보며 기뻐하다(습3:17).

잡다 ① (take) 손에 움켜쥐다(출17:5;창25:26;눅9:62;계3:11) ② (slaughter, butchered) 죽이다(창43:16;레4:24;마22:4;눅15:23). “예수께서 이르시되 손에 쟁기를 잡고 뒤를 돌아보는 자는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치 아니하니라 하시니라”(눅9:62)

잡류(雜類, wicked men, rogues) 점잖지 못한 사람들. 건달(삿11:3;겔23:42;신13:13).

잡세(雜稅, tribute) 바사의 세금의 일종(스4:13,20). 현금으로 바친 지방세였다(스7:24). 조공은 중앙에 바치는 국세, 잡세는 상품 물산에 대해, 부세는 여행자에게 부과된 세로 말해진다.

잡수다(may eat) ‘먹다’의 높임말(창27:10;삼상28:22;마26:17;요13:4). “무교절의 첫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서 가로되 유월절 잡수실 것을 우리가 어디서 예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마26:17)

잡아매다(tied) 한데 묶다(행21:11). “우리에게 와서 바울의 띠를 가져다가 자기 수족을 잡아매고 말하기를 성령이 말씀하시되 예루살렘에서 유대인들이 이같이 이 띠 임자를 결박하여 이방인의 손에 넘겨주리라 하거늘”(행21:11)

잡족(雜族, all the foreign people) 혼혈된 사람(출12:38;렘50:37;슥9:6). 포로 귀환 후, 유대인은 그 순수성을 지키기 위한 열정에서 외국 요소의 배제에 힘썼다(느13:3).

잡풀(weeds) 쓸모없는 풀(욥31:40). 독보리의 일종으로 보리와 비슷한 풀이다.

잡히다(caught) 붙잡히다. 움키어 잡음을 당하다(출22:7;잠6:2;마5:22;계19:20).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형제에게 노하는 자마다 심판을 받게 되고 형제를 대하여 라가라 하는 자는 공회에 잡히게 되고 미련한 놈이라 하는 자는 지옥 불에 들어가게 되리라”(마5:22)

잣나무(pinus koraiensis, cypress) 나무질은 견고하고, 조직이 치밀하여 목재로 쓰임(삼하6:5;겔27:5). 노아의 방주 재료로 인용되어 있다(창6:14). 잎은 솔잎보다 굵고, 열매는 솔방울 비슷하지만, 크고, 그 씨를 ‘잣’이라 하여 식용한다.

① (帳, veil, curtain) 간막이(출35:12,26:33,27:16). ‘휘장’(렘4:20), ‘앙장’(출26:3) 등으로도 번역되어 있다 ② (丈, length) 길이(창6:15;겔42:20;계21:16).

장가(marriage) 남자가 아내를 맞는 일(창11:29;왕상7:8;마22:30;막12:25). “부활 때에는 장가도 아니 가고 시집도 아니 가고 하늘에 있는 천사들과 같으니라”(마22:30)

장관(長官, ruler, commander) 나라 일을 맡아보는 부서의 으뜸 벼슬(창21:22;삿11:6;대하33:11).

장광(長廣, width and length) 길이와 넓이(출28:16;슥2:2;계21:16).

장구(長久, permanence) 매우 길고 오램(신5:33;시49:12;잠28:2).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명하신 모든 도를 행하라 그리하면 너희가 삶을 얻고 복을 얻어서 너희의 얻은 땅에서 너희의 날이 장구하리라”(신5:33) “사람은 존귀하나 장구치 못함이여 멸망하는 짐승 같도다”(시49:12)

장군(將軍, captain) 군의 우두머리(계6:15,19:18).

장난(play) 실없이 하는 일(사11:8;슥8:5). ‘장난하게 하자’(삼하2:14)는 ‘서로 찔러 죽이는 놀이를 하자’는 뜻이다.

장년(壯年, prime of manhood) 30세 안팎의 활동할만한 시기(욥30:2;호12:3).

장단(長短, long and short) 긴 것과 짧은 것(출26:2,8,36:9).

장담(壯談, asserted) 자신 있게 말함(눅22:59).

장대 ① (pole) 긴 막대기(민21:8,9). 불 뱀을 달아 맨 장대를 가리킨다 ② (rod) 척량하는 자(겔40:5,6,42:16). 신성 규빗의 장척에 의하면 1장대는 3.15m가 된다(겔40:3).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불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라 물린 자마다 그것을 보면 살리라”(민21:8) “모세가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다니 뱀에게 물린 자마다 놋뱀을 쳐다본즉 살더라”(민21:9)

장대하다(長大-, stronger and taller) 길고 크다(신1:28,9:2;사18:7).

장대한 자(giants) 키와 몸집이 큰 사람. 거인(대상20:8;사10:33;민13:32). 블레셋인 용사의 선조에 대해 씌어져있다(삼하21:16-22). 골리앗은 그 신장은 6규빗 반(약2.9m)이었다고 한다(삼상17:4).

장도리(hammer) 못을 박고 빼는 연장(렘10:4).

장래(將來, yet to come, coming age) 앞으로 닥쳐올 날(시71:18;대상17:17;요16:13;딤전6:19).“그러하나 진리의 성령이 오시면 그가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시리니 그가 자의로 말하지 않고 오직 듣는 것을 말하시며 장래 일을 너희에게 알리시리라”(요16:13)

장래사(將來事, things to come, things long ago) 앞으로 닥쳐올 일(사41:22,42:23,48:3).

장려(獎勵, encourages) 권하여 힘쓰게 함(사41:7;시138:3;행18:27).

장례(葬禮, funeral rites, burial) 장사 지내는 예절(요19:40). 구약시대에는 죽은 자는 생전에 입던 옷 그대로 매장된 듯하다(삼하3:31). 시체를 불태우는 것은 극악한 경우뿐이다(레20:14,21:9;수7:25). 그리고 이것은 전율한 일로 여겨졌다(암2:1). “이에 예수의 시체를 가져다가 유대인의 장례법대로 그 향품과 함께 세마포로 쌌더라”(요19:40)

장례문화(葬禮文化, funeral rites culture) 죽음에 대한 의미와 영원한 삶을 꿈꿨던 부활에 대한 열망이 장례문화의 형태를 결정한다.

1. 매장(埋葬) : 시신을 땅이나 굴속에 묻는다(창23:15;마 27:59,60;요11:38).고대부터 지금까지 광범위하게 전해지고 있는 장법이다.

2. 화장(火葬) : 시신을 불에 태워 장사한다. 전염병 등으로 사망한 사람이나 전쟁터에서 다수의 시신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선택된 장법 중 하나다(삼상 31:12,13).

3. 조장(鳥葬) : 화장에 사용할 수 있는 나무를 구하기 어려운 고원지대 등에서 시신을 독수리들이 뜯어먹도록 한다.

4. 수목장(樹木葬) : 시신을 나무 밑에 묻는다. 묘지로 인한 자연 훼손과 땅의 비효율성을 막고 시신이 자연으로 쉽게 환원되게 하는 방법이다.

5. 풍장(風葬) : 시신을 관에 넣고 깎아지른 절벽이나 바람이 강하게 부는 암벽 등에 걸쳐놓는다.

6. 수장(水葬) : 흐르는 강물에 시신을 떠내려 보낸다. 물은 모든 사물을 정화시킨다는 이른바 물의 정화사상이 장법에까지 이어진 것이다.

7. 미라(mirra) : 고대 이집트에서 수천년 동안 행해졌다. 영원히 살기를 원하는 바람과 죽은 자가 언젠가는 다시 부활할 것이란 믿음에서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 미라를 만든 방법은 매우 과학적이었다. 먼저 죽은 자의 콧구멍을 통해 골수를 뽑아내고 방부제인 몰약과 향으로 채운다. 그리고 개복한 후 내장 등을 꺼낸 뒤 그 공간에 향 재료를 채운다. 이어서 시신을 천연 탄산소다로 깨끗이 씻고 천으로 닦아 말린 뒤 온몸에 고무 진액을 바른다. 마지막으로 세마포로 싸서 관속에 넣는데 여기까지 최소 40일이 소요된다(창49:29,50:2,3,26).

8. 엠바밍(embalming) : 시신이 썩지 않고 생전의 모습과 동일하게 처리한다. 혈액 대신 방부제를 주입해 시신을 영구적으로 보존하는 기술이지만 이것도 장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죽은 자를 숭배하는 방법으로 생전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처럼 효과적인 방법은 없을 것이란 데서 비롯됐다.

장례예배(葬禮禮拜, burial worship) 일반적으로 기독교인의 장의는 임종예배, 입관예배, 발인예배, 하관예배의 순으로 진행된다. 이에 대해서 특별히 규정된 의식 절차는 없고 일반적인 예배순서에 준하여 예배한다. 그러나 예배라는 표현 대신 예식이란 표현을 하는 것이 성경적이다.

장로 ① (長老, elder) 공동체 지도자. 연장자. 성읍의 지도자들이 ‘이스라엘 장로’로 불리웠다(출3:1617:5,19:7,24:1). 마카비 시대에는 ‘장로’는 산헤드린 의회의 의원을 가리키는 명칭이었다. 이것은 모세에 의해 세워진 70인 장로의 고사에 기초한 제도였다(민11:16-). 유대인의 ‘장로들’(마16:21,21:23,26:3,57,27:1)은, 서기관, 제사장과 함께 기록되고, 예수께(마16:21,27:1), 또는 사도들에게 적대적인 태도를 취했다(행6:12). 신약에서 ‘장로’는 사도들과 아울러, 예루살렘 교회의 장로로서 존경을 받고 있던 사람들(행11:30,15:2)과 각 교회의 장로이다. 바울은 교회마다 장로를 임명했다(행14:23). 그들은, 한 지방 교회의 감독으로서(딛1:5), 신자의 영적 생활의 지도를 하고, 회중을 가르쳤다(딤전3:1-5;딛1:9;약5:14;벧전5:1-4). 한 지방의 교회에는 몇 명의 감독(빌1:1), 또는 장로(행11:30)가 있었다. 그들은 정규의 목사이고, 교사이며, 안수 받아 임직된 사람들이다(딤전4:14). 이 초대 교회의 장로는, 가르치는 일과 다스리는 일을 했다(딤전5:17-). 계시록에는 24장로가 보여 지는데, 이것은 구약의 12지파의 선조, 신약의 12사도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계7:13,4:4) ② (長老, presbyter) 교회에서 가르치고 다스리는 직책의 직분 이름. 만 35세 이상 된 남자 중 입교인으로 흠없이 5년을 경과하고 상당한 식견과 통솔력이 있으며 딤전3:1-7에 해당한 자로, 당회의 결의를 통해 공동의회에서 투표자의 2/3 이상의 찬성으로 선출된다. 당회 또는 치리회 회원으로서 목사와 협력하여 교회의 행정과 권징 업무를 집행한다. 그러므로 장로는 모든 성도의 모범이 되고 영적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약5:14).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백성 앞을 지나가서 이스라엘 장로들을 데리고 하수를 치던 네 지팡이를 손에 잡고 가라”(출17:5) “또 이십 사 장로와 네 생물이 엎드려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께 경배하여 가로되 아멘 할렐루야 하니”(계19:4) “너희 중에 병든 자가 있느냐 저는 교회의 장로들을 청할 것이요 그들은 주의 이름으로 기름을 바르며 위하여 기도할찌니라”(약5:14)

*장로의 구분(區分) ①시무장로: 공동의회에서 택함(2/3득표)받고, 목사와 협동하여 행정,권징 등을 총찰한다 ②원로장로: 본 교회에서 20년 이상 시무하던 장로로 공동의회의 결의로 추대할 수 있다 ③은퇴장로: 연로하여 퇴임한 장로 ④무임장로: 타 교회에서 이명되어 와서 아직 취임받지 못한 장로 ⑤협동장로: 무임장로 중에서 당회의 의결로 선임되며 당회의 언권 회원이 된다 ⑤이래장로: 타 교회로부터 온 장로.

장로교(長老敎, presbyterian) 칼빈주의를 모체로 하는 교파로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교리문답을 신앙의 표준으로 삼고 있다. 장로교라고 부르는 이유는 교회의 운영이 장로들의 정치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장로교의 중요한 특징은 성경의 권위를 교회와 전통의 권위보다 높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한국에 전래된 장로교는 미국의 남장로교회와 북장로교회, 그리고 캐나다의 연합장로회였고, 현재는 한국에서 가장 큰 세력을 가진 기독교파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같은 장로교 내에서도 신앙과 신학의 차이에 따라 수많은 교파들로 나뉘어져 있다. 장로교의 교권과 치리는 당회, 시찰회, 노회, 대회, 그리고 총회 등 피라미드형으로 다스려진다. 그런데 대개 외국에는 시찰회가, 그리고 한국에는 대회가 없다. 최고의 치리기구인 총회는 각 노회를 대표하는 같은 수의 목사와 장로 총대로 구성되어있다. 한국의 장로교회는 1876년 유일하게 국교로 하고 있는 스코틀랜드 선교사 매킨타이어에게서 세례를 받은 이응찬에 의해 성경이 번역되면서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후 1884년 미국 북장로교의 선교사 알렌이 인천에 도착한 날로부터 선교의 역사는 시작된다. 그리고 이어서 이듬해 언더우드가 한국에 오면서 본격적으로 선교가 시작되었다.

*장로교 분열사(長老敎 分裂史) 해방 후 장로교회는 일제치하에서 심사참배를 했던 문제로 첫 분열을 하게 되었다. 일제치하에서 신사에 참배한 교회의 지도자들의 회개와 근신이 불만족스러울 뿐만 아니라, 그들이 여전히 교회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데 대한 출옥 성도들(신사참배를 반대하다 감옥에 갔다가 해방되어 출옥한 성도들)의 불만이 결국은 극단적인 재건교회를 세우게 되었다. 1951년, 경남노회에서 근본주의 노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교회가 새로운 신학을 받아들이고 신사참배의 죄를 청산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고려신학교를 세우고 또한 고신파 장로교로 갈라져 나간 것이다. 1954년에 갈라져 나간 파가 기독교장로회(기장)이다. 1959년에는 세계 교회협의회(WCC)와의 유대관계를 찬성하는 소위 에큐메니칼 측(통합 측)과 이를 반대하는 파(합동측)로 분열되어 버리고 말았다. 이렇게 하여 장로교회는 1950년대에 제일 보수파로 알려져 있는 고신파, 그 다음으로 보수적인 신앙을 부르짖는 예장 합동 측과 중도 통합적인 노선을 걷는 예장 통합 측 그리고 교회의 사회참여를 많이 강조하는 기독교장로회(기장)의 네 개로 나뉘어지고 말았다. 그 이후로도 장로교회는 많은 분열을 거듭하였다.

*'합동'과 '통합'의 차이점(差異點) 예수교 장로회의 양대 교단인 ‘합동’과 ‘통합’ 교단은 칼빈주의 예정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교리로 하는 것은 같으나 아래 제시된 영역의 강조점에 차이가 있다. (합동/통합) ①영혼 구원이 지상 과제/사회 복음 표방 ②보수주의. 기독화/자유주의. 인간화 ③기독교 진리만이 절대적임/구원은 부활 복음 외에도 가능함 ④축자 영감설/개념 영감설 ⑤에큐메니칼 반대/에큐메니칼 찬성 ⑥.하나님 주체성 강조/인간 주체성 증진 ⑦교회와 세상의 구별/교회와 세상은 동심원 ⑧미래의 하나님 나라/현실 속의 하나님 나라 ⑨타 종교와 불타협/타 종교와 타협

장로들의 유전(-遺傳, tradition of the elders) 랍비들이 토론하고 결정한 것들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정리한 일종의 법전. 모세의 율법 이외에 구전으로 전한 계율(막7:3).->미쉬나, 할라카, 토라 “당신의 제자들이 어찌하여 장로들의 유전을 범하나이까 떡 먹을 때에 손을 씻지 아니하나이다”(마15:2)

장로정치(長老政治) 교회의 기본적 권리가 회중들에게 있다고 보고, 그들에 의하여 선출된 장로들에 의한 대의정치(代議政治)를 지향한다. 모든 교회의 구성원의 만인 제사장직에 근거하여 모든 성도가 하나님 앞에 평등하다고 믿는다. 장로교회는 회중교회 정치의 자율과 평등사상을 수용하지만, 모든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이기 때문에 교회는 연합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이 점이 장로교회와 회중교회와의 차이점이다. 장로교도들은 성경이 어떤 교회 정치 형태를 취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둔다. 교회가 성경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성경이 교회를 다스려야 하기 때문이다.->교황정치, 감독정치, 회중정치

장립(將立, consecrate oneself) 안수 목사가 장로, 집사로 선정된 신자에게 그 교직(敎職)을 주는 일. 임직(대하13:9).->위임

장립집사(將立執事) 안수집사. 70세까지의 항존직으로 지교회가 공동 의회 규칙에 의하여 선거하되 투표 3분의 2이상의 찬성을 요한다.→집사

장마비(showers) 계속해서 많이 내리는 비(겔34:26).

장막(帳幕, tent) 유목민, 목자, 병사들이 쓴 이동 주거(창13:12,4:20;행7:44,18:3). 하나님께서 모세의 지시하여 만들게 하신 텐트형의 이동할 수 있는 성소다(출25장). “광야에서 우리 조상들에게 증거의 장막이 있었으니 이것은 모세에게 말씀하신 이가 명하사 저가 본 그 식대로 만들게 하신 것이라”(행7:44)

장막 만드는 자(tent maker) 가죽을 다루는 직업(행18:3). 바울은 천막 제조를 하면서 전도에 종사했는데, 고린도에 살고 있던 아굴라와 그 아내 브리스길라의 집에 머물면서 함께 일했다(행18:1-4). “업이 같으므로 함께 거하여 일을 하니 그 업은 장막을 만드는 것이더라”(행18:3)

장막에 거한 자(who lived in tents) 천막에 사는 자(삿8:11,5:24).

장막절(帳幕節, feast of tabernacles)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 후 40년간 광야에서 장막(천막) 생활한 것을 기념하여, 지붕에 천막을 치고 기념한 축절로 유월절, 칠칠절(오순절)과 더불어 이스라엘의 역사적 3대 절기 가운데 하나이며(출34:22) 수장절, 초막절이라고도 부른다(출23:16).

장망성(將亡城, city of destruction) '멸망의 성읍'. 주의 날에 가나안 방언(히브리어)을 하면서, 만군의 여호와를 가리켜 맹세할 애굽의 다섯 성읍의 하나(사19:18).

장모(丈母, mother in law) 아내의 친어머니(신27:23;레20:14;눅4:38), 빙모. 시몬 베드로의 장모(마8:14;막1:30;눅4:38)에 대해 씌어져 있다.

장부 ① (臟腑, viscera, inner parts) 내장의 총칭(출29:17;시139:13). 하나님께서 인간장부를 창조하신 일에 인용되어 있고(시139:13), 드려지는 희생 제물의 ‘장부’에 대해 말하고 있다(출28:10-18) ② (丈夫, man) 혈기 왕성한 남자(사46:8). “주께서 내 장부를 지으시며 나의 모태에서 나를 조직하셨나이다”(시139:13)

장사 ① (business, merchant) 이익을 얻기 위하여 물건을 사고파는 일(겔27:22;느3:8;눅19:13;행16:14). 상고. 상인과 같은 뜻으로 쓰는 일도 있다(겔16:29,17:4,27:22) ② (壯士, mighty) 기개와 골격 체질 등이 굳센 사람(시120:4;대상28:1;계19:18). ‘용사’(잠21:22;렘9:23)로도 번역되어 있다. “장사의 날카로운 살과 로뎀나무 숯불이리로다”(시120:4) ③ (葬事, burial) 시체를 묻는 일(창15:15,23:19;요19:41;행8:2). 고대의 장례는 매장을 의미하고, 나사로의 경우처럼 사망 당일에 장례 매장하는 것이 보통이었다(요11:6). 초기 기독교 때에는 기도하고, 찬송하면서 묘지로 향하는 것으로 되었다. 거기서 또 기도하고, 찬송가, 추도사가 행해졌다. 이는 일관된 부활의 신앙을 나타내는 것이고, 흰 베, 흰 옷이, 부활의 기쁨의 색으로서 쓰이게 되었다. 슬픔을 의미하는 검은 색으로 변한 것은 8세기경이다. “그 후에 아브라함이 그 아내 사라를 가나안 땅 마므레 앞 막벨라 밭 굴에 장사하였더라 (마므레는 곧 헤브론이라)”(창23:19) “예수의 십자가에 못 박히신 곳에 동산이 있고 동산 안에 아직 사람을 장사한 일이 없는 새 무덤이 있는지라”(요19:41)

장색(匠色, smith, craftsman) 물건 만드는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신27:15;사44:11;딤후4:14;행19:24). 공장, 장인으로도 번역되어 있다.

장소(場所, place) 곳. 자리(창26:22;레14:13).

장수 ① (長壽, long life) 오래도록 삶(욥12:12;창15:15;엡6:3) ② (將帥, military leader) 군사의 우두머리(신30:20;대상13:1;에1:3). “늙은 자에게는 지혜가 있고 장수하는 자에게는 명철이 있느니라”(욥12:12) “이는 네가 잘 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엡6:3)

장식(裝飾, ornament) 꾸미는 일. 꾸밈새(삿8:26;잠25:12;겔16:13). 사람들은 남녀 모두 장식물을 몸을 지녔다(창24:32;출3:22;딤전2:9). “슬기로운 자의 책망은 청종하는 귀에 금고리와 정금 장식이니라”(잠25:12)

장식품(裝飾品, fine jewelry) 꾸미는데 쓰이는 물건(겔16:17,39,23:26).

장애(障碍, obstacle) 거치적거리며 지장이 되는 일(시57:6;고전9:12). “다른이들도 너희에게 이런 권을 가졌거든 하물며 우리일까보냐 그러나 우리가 이 권을 쓰지 아니하고 범사에 참는 것은 그리스도의 복음에 아무 장애가 없게 하려 함이로라”(고전9:12)

장애물(障碍物, stumbling block) 신앙을 방해하는 것의 비유적 표현(레19:14;시119:165). “주의 법을 사랑하는 자에게는 큰 평안이 있으니 저희에게 장애물이 없으리이다”(시119:165)

장엄복수형(莊嚴複數形) 절대적인 것이나 장엄한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단수형 대신 복수형을 사용하는 것. 예를 들어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하나님’(엘로힘)이란 말도 사실은 ‘엘’(하나님)이라는 말과 ‘임’(복수형)이 합쳐져서 된 말이다. 학자들은 이와 같이 하나님을 ‘하나님들’이라고 표현한 것이 하나님의 절대성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법이라고 말한다. 또한 성경에 사용된 ‘하늘’이란 말은 원래 히브리어로 ‘샤마임’이란 말인데, 이 말도 ‘샤마’(하늘)이란 말에 ‘임’(들)이란 말이 합쳐진 말이다. 학자들은 이 말도 광활하고 장엄한 하늘을 강조하기 위한 장엄 복수형이라고 말한다. 현재 주석가들 중에는 (창1:26)에 사용된 ‘우리’도 하나님의 절대성과 신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 ‘장엄 복수형’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정통적인 교회의 견해는 (창1:26)의 ‘우리’는 3위 1체 하나님(성부, 성자, 성령)이다.

장유(長幼, young and old) 나이 많음과 나이 어림(창43:33).

장인 ① (丈人, father in law) 아내의 친아버지(출18:1,5;요18:13). 빙부. 빙장이라고도 한다 ② (匠人, craftsman, artisan) 기술공업자에 대한 일반적인 명칭(삿5:26;사40:19,20,54:16). 공장(대상29:5), 장색(신27:15)으로도 번역되어 있다.

장자(長子, firstborn) 맏아들(창25:31,33;히12:16,23).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의 장자로 되었다(출4:22). 이와 관련해서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장자로서 하나님의 나라를 이어받을 자로 되었다(히12:23). 그러나 하나님의 참 장자는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로서 하나님은 그를 세상에 보내시고(히1;6), 믿는 자를 하나님의 아들로 삼으시고(롬8;29), 특히 그리스도를 부활한 자의 장자, 첫 열매가 되게 하셨다(고전15;20,23).

장자의 명분(-名分, your birthright) 장자가 지켜야할 도리(대상5:2;창25:34;히12:16). “야곱이 가로되 오늘 내게 맹세하라 에서가 맹세하고 장자의 명분을 야곱에게 판지라”(창25:33). “야곱이 떡과 팥죽을 에서에게 주매 에서가 먹으며 마시고 일어나서 갔으니 에서가 장자의 명분을 경홀히 여김이었더라”(창25:34)

*장자의 권리(權利) 장남이 부모의 재산을 상속함에 있어서 발휘할 수 있는 특별한 권리. 장남은 보통 아버지의 신분을 이어받고, 상속 때에 가옥과 모든 재산의 분배에 대해 다른 형제에 나누어주는 것의 2배의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창25:31;신21:15-17). 그 이유는, 장남이 그 일족 및 친척을 대표로 대접하고, 선물을 해야하는 일 등인 때문이다. 장자의 권리 가운데는, 가족제사에 있어서의 제사장으로서의 특권도 포함되어 있었고, 에서가 야곱에게 한 대로, 아우에게 팔 수도 있었다(창25:31-33;히12:16). 두 아내 중에 마음에 들지 않는 아내의 자식이 장남인 경우라도, 그 특권은 동일했는데(신27:15-17), 그 불의함이나 나쁜 품행 등으로 인해 몰수되는 일도 있었다(대상5:1).

장자들의 총회(-總會, church of the firstborn)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히12:23).

장정(壯丁, young man) 혈기왕성한 기운 좋은 남자(출12:37;사40:30,31;왕하8:12). “소년이라도 피곤하며 장정이라도 넘어지며 자빠지되 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 힘을 얻으리니”(사40:30,31)

장중(掌中, in one's hand) 손아귀 안. 장내(시71:4;잠30:4). “나의 하나님이여 나를 악인의 손 곧 불의한 자와 흉악한 자의 장중에서 피하게 하소서”(시71:4) “하늘에 올라갔다가 내려온 자가 누구인지, 바람을 그 장중에 모은 자가 누구인지, 물을 옷에 싼 자가 누구인지, 땅의 모든 끝을 정한 자가 누구인지, 그 이름이 무엇인지, 그 아들의 이름이 무엇인지 너는 아느냐”(잠30:4)

장지(葬地, burial ground) 시체를 묻는 땅. 뫼 쓸 자리(삿16:31).

장차(將次, forth) 앞으로(창41:35;단11:3;눅8:17;계1:8). “숨은 것이 장차 드러나지 아니할 것이 없고 감추인 것이 장차 알려지고 나타나지 않을 것이 없느니라”(눅8:17)

장차 올 진노(-震怒, coming wrath) 예루살렘의 멸망(사3:8;눅21:20)과 최후의 심판(눅3:7;요3:36)을 가리킨다. “요한이 세례 받으러 나오는 무리에게 이르되 독사의 자식들아 누가 너희를 가르쳐 장차 올 진노를 피하라 하더냐”(눅3:7)

장터(market place, agora) 장이 서는 장마당. 아이들의 놀이터(눅7:32;마11:16). 노동자가 일을 기다리고 있는 장소로도 되었다(마20:3).

장형(長兄, eldest brother) 맏형(삼상17:28).

잦다(parched, shed) 물이 스며들어 바닥에 깔리다((욥6:15;사19:5,26:21).

재(灰, ashes) 불태운 뒤에 남는 분말상의 물질(출9:10;민19:9;벧후2:6;히9:13). 무가치(창18:27), 고통, 통회(에4:1;마11:21) 등에 씌어져 있다. “소돔과 고모라 성을 멸망하기로 정하여 재가 되게 하사 후세에 경건치 아니할 자들에게 본을 삼으셨으며”(벧후2:6)

재갈(bit, bridle) 물지 못하도록 짐승의 입에 가로로 물리는 쇠토막(약1:26,3:3). 구속력을 상징하는 데 씌어져 있다.->자갈 “누구든지 스스로 경건하다 생각하며 자기 혀를 재갈 먹이지 아니하고 자기 마음을 속이면 이 사람의 경건은 헛것이라”(약1:26)

재계하다(齋戒-, purify)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다(슥7:3).

재난(災難, misfortune, calamity) 불행한 일(창42:4;시141:5;막13:8;마24:8). “민족이 민족을, 나라가 나라를 대적하여 일어나겠고 처처에 지진이 있으며 기근이 있으리니 이는 재난의 시작이니라”(막13:8)

재능(才能, talent)->달란트

재다(measured) 길이를 자로 헤아리다(삼하8:2;사44:13;행27:28).

재덕(才德, talent and virtue) 재주와 덕행(출18:21,25).

재료(材料, gain) 물건을 만드는데 필요한 원료(창50:3;겔47:12;딤전6:5;행25:26). “마음이 부패하여지고 진리를 잃어버려 경건을 이익의 재료로 생각하는 자들의 다툼이 일어나느니라”(딤전6:5)

재리(財利, property and profit) 재물과 이익(마13:22;막4:19;눅8:14). “가시떨기에 뿌리웠다는 것은 말씀을 들으나 세상의 염려와 재리의 유혹에 말씀이 막혀 결실치 못하는 자요”(마13:22)

재림(再臨, parousia, second comming) 예수 그리스도께 구원을 완성하시기 위해 마지막 날에 지상에 다시 오시는 일. 그리스도의 재림은 그리스도께서 친히 예언하시고(요14:3;마26:64), 천사도 증거한 것이며(행1:11), 주께서 최후에 거듭 역설하신 일이다(계22:7,12,20).->예수 그리스도

*재림의 다른 표현(表現) ①주의 날(살전5:2;살2:2) ②인자의 날(눅17:22-) ③그리스도의 날(빌1:6,10) ④심판할 날(행17:31) ⑤그 날(살전5:4;마7:22;살후1:10) ⑥나타나심(골3:4;요일2:28,3;딛2:11;딤전6:14) ⑦오리라, 올 때(마10:23;막8:38;눅18:8;요21:22).

*재림의 근거(根據) ①예언자들의 말(단7:13) ②예수님의 말씀(마25:31) ③바울의 말(딤전6:14) ④천사들의 말(행1:10,11)

*재림의 목적(目的) ①심판 하시고(딤후4:1) ②어두움에 감추인 것을 드러내어(고전4:5) ③사망을 멸망시키고(고전15:25,26) ④성도의 구원을 이루어(히9:28) ⑤성도를 데려가서(요14:3) ⑥영원히 다스려(계11:15) ⑦영광을 받으시기 위함이다(살후1:10).

*재림의 방법(方法) 주의 재림은 초림과 달리(빌2:5-8) 영광으로 빛나게 오신다(눅9:26;마24:30;딛2:13). 주는 ①사자를 동반하여(마16:27;막8:38;살후1:7) ②구름을 타시고(마24:30,26:64) ③불꽃 중에(살후1:7) ④모든 성도와(골3:4) ⑤이미 잠든 성도들과 함께(살전4:14,15) ⑥눈에 보이게(행1:11) ⑦호령과 천사장의 소리로(살전4:16) ⑧하늘로서 오시어(살전4:16) 최종의 심판의 보좌에 앉으신다(마25:31-45).

*재림의 시기(時期) 이제 나머지 일부의 성취를 위해 주는 이전에 승천하신 모습대로 다시 오신다(행1:11). 그 시기는 아버지 하나님만이 알고 계신다(마24:36;막13:32). 재림은 이제라도 일어날 수 있다. 주는 갑자기 오시므로(마24:27,37,44), 신자는 항상 깨어 있으면서 기다려야 할 것이다(마25:13;살전5:6;벧후3:10). 이것은 만든 이야기를 좇는 것이 아니라, 그의 크신 위엄을 친히 본 사도들이 증언하는 일이다(벧후1:16-19). 주의 가르치심을 받고 있는 산 자에게 있어서는 주는 부지중에 오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징조를 거쳐 오시는 것이다(마24:29-33;살전5:4;행2:19,20;벧후3:3,4). 그 때는 가까워졌다(고전7:29;롬13:11-14;빌4:5). 주의 재림이 더딘 것으로 생각되는 것은, ‘오직 너희를 대하여 오래 참으사 아무도 멸망치 않고 다 회개하기에 이르기를 원하시는’ 때문이다(벧후3:8,9;마25:5,19).

*재림의 징조(徵兆) ①세상에 드러난 여러 가지 일(딤후3:1-7;마24:5-7,12-38) ②적그리스도가 나타남(살후2:3-8) ③복음이 온 세상에 전파됨(마24;14) ④교회의 완성(롬11;25)

*재림 시 일어날 일 하나님의 백성의 집결(살후2:1;요14:3;골3:4;막13:27,공중 휴거가 있을 것인데→살전4:17), 구원의 완성(히9:26-28;빌3:20,21;골3:4;요3:2;고전13:12,15:53), 죽은 자의 부활(고전15:22,23,살전4:16), 천년기 왕국의 개시(계20:5), 심판과 보수(계22:12;딤후4:8;벧전5:4), 그리스도를 받아들인 자와 그렇지 않은 자와의 분리(마 24:40,25:32;눅17:34-37), 하나님께서 대적하는 자의 심판과 속박(계19:20,20:2-), 천지만물의 갑작스런 파괴(벧후3:10;막13:24),만물의 갱신(행3:21). 이런 일들이 있고서, 그리스도는 영광의 보좌에 앉으시고(마19:28), 의와 평화의 지배를 확립하여(살후2:8-10;고전15:24;벧후3:10-13), 만물을 복종케 하시고, 나라를 아버지 하나님께 바치신다(고전15:24-26;계21:1-4).

*재림 시 성도의 자세(姿勢) 그때를 바라보면서(벧전1:13), 확신과 인내로써, 점도 없고 책망 받을 것도 없이, 성결한 생활을 하는 중에 기다리며(딤전6:14;딛2:12;빌3:20), 미혹되는 일 없이(마24:4;살후2:3), 예비해야 할 것이다. 그리스도인은 재림의 때까지, 충실히 주어진 일을 하고(마25:1-30;살후3:11;딤후4:7,8;딛2:12,13). 그리스도의 고난을 참여하는 일을 기쁨으로 여겨야 할 것이다(벧전4:12,13). 주께 충성 되이 일한 사람 위해 면류관이 약속되어 있다(딤후4:8;벧전5:4;약1:12). 그리스도인은 그 때를 기다리면서, 십자가상에서 구원을 완성하신 주의 죽으심으로 말미암는 은혜를 기억하고, 주를 기념하여, 주의 만찬을 주가 오시는 때까지 지킬 것이다(고전11:26). ‘아멘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계22:20)’ 하고 말하는 교회에 대하여, 주는 ‘내가 진실로 속히 오리라’고 약속해주시고 있다.

재림파(再臨派) 그리스도의 재림이 임박했다고 굳게 믿고 신앙생활에 분발하는 교단의 총칭. 뱁티스트파(침례교)의 농부 W.밀러가 1831년 무렵, 구약성서의 ‘다니엘서’의 예언에 의거해 계산하면 그리스도의 재림이 1844년 10월 22일에 있을 것이라고 정확히 예언함으로써 수천 명의 신봉자를 모았다. 그의 예언은 실현되지 않았으나, 그 신봉자들은 1645년 이후 스스로를 '재림파'라고 부르는 집단을 형성하고, 또한 그리스도의 재림이 가까왔다고 주장하였다.

재목(材木, wood) 건축 재료로 쓰이는 나무(왕상5:18;대하2:9,16:6).

재무(財務, treasurer) 재정에 관한 사무(롬16:23).

재무관(財務官, treasurers) 재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또는 그 우두머리(단3:2,3).

재물(財物, wealth, mammon) 돈과 값나가는 물건(신8:18;대하1:12;마6:24). 땅, 가축, 건물, 노예와 같은 재산을 말한다. 이 세상의 모든 재물은 하나님의 것으로(시24:1;학2:8) 사람들은 재물의 청지기에 불과하다(민34:2). 성경에는 재물의 위험과 부에 대한 경계를 하고 있다(약5:1-6;딤전6:8-10,17-19).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할 것이니 혹 이를 미워하며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며 저를 경히 여김이라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마6:24)

재미(fun) 아기자기하게 즐거운 맛(시55:14;렘48:38;민11:18).

재배(栽培, plant) 식물을 심어 가꿈(사65:22;렘35:7;시107:37).

재 버리는 곳(place for ashes) 성막의 동쪽에 마련되어 있던 구덩이로, 희생수의 재를 버리는 장소(레1:16).

재산(財産, property) 소유한 재물(왕상10:23;에9:16;행2:45;눅15:13).

재상(宰相, prince, minister) 모든 관원을 감독하는 관직(잠8:16).

재세례파(再洗禮派, anabaptists) 16세기 종교개혁운동의 한 분파로서 좌파운동, 과격운동으로도 불리어진다. 재침례파라고도 한다. 이 파는 자각적인 신앙고백 이후의 세례만이 유일한 세례라고 주장하고, 유아세례를 반대한다. 운동은 대개 그 성격상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복음적 재세례파(福音的 再洗禮派, evangelical anabaptists) : 스위스 형제단(Swiss Brethren), 메노나이 트(the Menonites)등 복음적이며 독립교회주의(Free Church)자들을 가리키며, 주로 스위 스와 남부 독일 지방에서 일어난 교회운동이다.

*신령주의자(神靈主義者, spiritualists) : 주로 동부 독일을 근거로 한 이들로써 과격파와 온건파로 나 누인다.

*합리주의자(合理主義者, rationalists) : 합리주의, 인문주의자들로서 나중에 소시니안파 등이 이에 속 한다. 이들은 과격한 종교개혁가들로 이단으로 분류되었다.

재앙(災殃, calamity, plaque) 뜻하지 아니하게 생긴 불행한 변고. 천재지변으로 인한 불행한 사고. 하나님이 죄에 대한 벌로서 주시는 재해(창12:17;계9:18). 우연의 재해라는 관념은 무신론적인 사상이다. 성경은 “악을 행하는 각 사람의 영에게 환란과 곤고가 있으리니”(롬2:9)라고 명시하고 있다. 하나님의 형벌은, 칼(출5:3), 들짐승(호13:8), 한재(신28:22), 풍재(신28:22), 썩는 재앙(신28:22), 우박(출9:18) 등 여러 가지의 수단을 통하여 내리는데, 가장 많은 경우는 온역(출8:15;삼하24:13;대상 21:12;대하20:9;겔5:1;합3:15;눅21:11), 즉 역병이었다. ->애굽의 재앙 “여호와께서 폐병과 열병과 상한과 학질과 한재와 풍재와 썩는 재앙으로 너를 치시리니 이 재앙들이 너를 따라서 너를 진멸케 할 것이라”(신28:22)

재앙의 날(the day of calamity) 악인이 그들의 악으로 재난을 직면하는 날(삼하22:19;렘17:17;사18:18). “주는 내게 두려움이 되지 마옵소서 재앙의 날에 주는 나의 피난처시니이다”(렘17:17)

재의 수요일(水曜日) 사순절이 시작되는 수요일. 이날 교회가 미사 중에 참회의 상징으로 재의 축성과 재를 머리에 얹는 예식을 행한다. 이 때 창세기 3장19절을 인용하여 “사람은 흙에서 왔으니 흙으로 돌아갈 것을 기억하시오."한다. 재(灰)라는 것은 물건이 타고남은 잔재이다. 이는 인간이 범한 죄의 잔재로서 그 죄에 해당하는 보속을 상징한다. 구약성경(욥욥2;8)에는 욥이 하느님의 시련을 보고 자신의 죄를 보속하기 위해 잿더미에 앉았고, 요나가 니니베로 가서 회개를 설교했을 때도 그러했다(욘3;6). 신약성경(마11:21)에도 같은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사순절이 시작되는 이 날은 머리에 재를 얹으며 인생무상을 깨우치고, 죄에 대한 보속을 먼저 해야 부활의 기쁨을 맞이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친다.

재주(talent) 타고난 능력과 슬기(삿16:25;단1:17;전2:21). “하나님이 이 네 소년에게 지식을 얻게 하시며 모든 학문과 재주에 명철하게 하신 외에 다니엘은 또 모든 이상과 몽조를 깨달아 알더라”(단1:17)

재채기(sneezing) 코 안이 간질간질하여 갑자기 입으로 터뜨리는 소리(왕하4:35;욥41:18). ‘일곱 번 재채기하고’(왕하4:35)는 완전히 살아났다는 의미이다.

재촉(pressing) 빨리 하도록 깨우치고 조름(창19:15;삿16:16;눅23:23;마14:22). “저희가 큰 소리로 재촉하여 십자가에 못 박기를 구하니 저희의 소리가 이긴지라”(눅23:23)

재침례파(再浸禮派), anabaptists) 16세기 종교개혁운동의 한 분파로서 좌파운동, 과격운동으로도 불리워진다. 그 뜻은 세례를 다시 받는 다는 뜻을 의미한다. 이들은 또한 유아세례를 반대한다.

재판(裁判, judgement) 옳고 그름을 살펴 심판하는 일(출18:13,26;요18:31;마27:19). 재판은 하나님께 속한 것으로(신1:17),재판권은 가장의 손에서(창8:24;민35:19)백성의 장로(출18:15,16;민11:16)로 다시 소송제도가 채택되었다(신21:18-21;삼하14:4-9;왕상3:9;왕하15:5). “빌라도가 가로되 너희가 저를 데려다가 너희 법대로 재판하라 유대인들이 가로되 우리에게는 사람을 죽이는 권이 없나이다 하니”(요18:31)

재판관(裁判官, judge) 법률상의 분쟁을 해결하는 권한을 가진 사람(잠8:16;대상23:4;눅18:6;마12:27). 재판관은 법의 수호자로서 절대의 공정이 요구되었다(약4:12;행10:42;딤후4:8;약5:9). “주께서 또 가라사대 불의한 재판관의 말한 것을 들으라”(눅18:6)

재판석(裁判席, judgement seat) 재판하는 자리(사28:6;요19:13). “빌라도가 이 말을 듣고 예수를 끌고 나와서 박석(히브리 말로 가바다)이란 곳에서 재판석에 앉았더라”(요19:13)

재판자(裁判者, ruler, judge) 재판을 하는 사람(미5:1,7:3;약4:11,12). “입법자와 재판자는 오직 하나이시니 능히 구원하기도 하시며 멸하기도 하시느니라 너는 누구관대 이웃을 판단하느냐”(약4:12)

재판 자리(judgement seat) 재판관이 개정시에 착석하는 좌석(마27:19;행25:10,18:12). ‘재판석’(요19:13)으로도 번역되어 있다. “바울이 가로되 내가 가이사의 재판 자리 앞에 섰으니 마땅히 거기서 심문을 받을 것이라 당신도 잘 아시는 바에 내가 유대인들에게 불의를 행한 일이 없나이다”(행25:10)

재판장(裁判長, judges) 재판을 맡은 사람의 대표자(신16:18;출22:28;눅12:58;딤후4:8). “네가 너를 고소할 자와 함께 법관에게 갈 때에 길에서 화해하기를 힘쓰라 저가 너를 재판장에게 끌어가고 재판장이 너를 관속에게 넘겨주어 관속이 옥에 가둘까 염려하라”(눅12:58)

재해(災害, harm, misery) 폭우, 지진, 홍수 등 재앙으로 받은 피해(창44:29,34).

재혼(再婚r, emarriage) 성경에서는 음행 외에는 어떠한 경우라도 이혼은 정당화 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창2:24;말2:14-16;마5:31,32,19:3-9;막10:2-12;눅16:18;고전7:10-15). 따라서 하나님의 뜻에 따르면 이혼이 없으니 재혼은 성립할 수 없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인간의 완악함 때문에 잠정적이지만 재혼을 허락하셨다(신24:1,2). 예수님께서도 모세의 허락을 예외로 인정하셨다(마19:8). 바울 역시 특정한 경우 재혼을 인정하고 있다(고전7:9,39). 웨스트민스트 신앙고백 24장 5조도 '...이혼 후에는 죄를 범한 쪽이 죽은 것처럼 간주하여 다른 사람과 결혼하는 것이 합법적이다.'라고 순결한 편의 재혼을 인정하고 있다. "절제할 수 없거든 혼인하라"(고전7:9)는 바울의 권면은 '재혼하지 않음으로 더 큰 악이 드러난다면 재혼을 통하여 더 큰 악을 막아야 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하나님에 대한 신앙의 보존이 더 중요했기 때문이다(스10:10,11;마12:48-50).->이혼

재화(災禍, calamity) 각종 재앙과 끔찍한 불행(삼하12:11).

잿물(lye, soda) 재를 물에 걸러 얻은 세제(렘2:22;말3:2;민19:12).

잿밀(bad wheat) 체로 쳐서 떨어뜨린 쭉정이(암8:6).

쟁기(plow) 밭이나 논을 가는 농구(눅9:62). 이 세상일에 연연하고, 그 애착을 버리지 못하는 자는 예수의 제자가 될 수 없음이 말하고 있다. “손에 쟁기를 잡고 뒤를 돌아보는 자는 하나님나라에 합당치 아니하리라”(눅9:62)

쟁론(爭論, dispute) 서로 다투어 자기 주장을 함(삿6:31;왕상3:22;막9:34;행17:18).

쟁반(錚盤, tray) 음식물을 담는 넓은 모양의 그릇(잠25;11). 은반(민7:49), 소반(막6;28) 등으로도 번역되어 있다.

쟁변(爭辯, controvert, dispute) 다투어 변론함(렘12:1;호12:2;미6:2).

쟁쟁(錚錚, tinkling) 맞부딪쳐 울리는 소리가 매우 맑음(욥39:23). ‘발로는 쟁쟁한 소리를 낸다’(사3:16)는 것은 발목사슬의 소리로서, 상류부인의 사치와 허영을 보여주며, 시온은 이 사치로 말미암아 심판받게 된다.

쟁투(爭鬪, dissension) 서로 다투어 싸움(롬13:13). “낮에와 같이 단정히 행하고 방탕과 술취하지 말며 음란과 호색하지 말며 쟁투와 시기하지 말고”(롬13: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61 성경 용어사전 - 마 (무, 뮤) storybible 5587
60 성경 용어사전 - 가 (가, 갸) storybible 2521
59 성경 용어사전 - 가 (고, 교) storybible 2395
58 성경 용어사전 - 아 (어, 여) storybible 2090
57 성경 용어사전 - 하 (흐, 히) storybible 1745
56 성경 용어사전 - 다 (다, 댜) storybible 1715
55 성경 용어사전 - 마 (마, 먀) storybible 1700
54 성경 용어사전 - 사 (서, 셔) storybible 1694
53 성경 용어사전 - 바 (바, 뱌) storybible 1504
52 성경 용어사전 - 사 (사, 샤) storybible 1499
51 성경 용어사전 - 아 (아, 야) storybible 1485
50 성경 용어사전 - 자 (저, 져) storybible 1333
49 성경 용어사전 - 하 (하, 햐) storybible 1233
48 성경 용어사전 - 나 (나, 냐) storybible 1197
47 성경 용어사전 - 가 (거, 겨) storybible 1138
46 성경 용어사전 - 라 (라, 랴) storybible 1117
» 성경 용어사전 - 자 (자, 쟈) storybible 1042
44 성경 용어사전 - 타 (타, 탸) storybible 1040
43 성경 용어사전 - 하 (허, 혀) storybible 1010
42 성경 용어사전 - 바 (브, 비) storybible 991
41 성경 용어사전 - 라 (르, 리) storybible 974
40 성경 용어사전 - 마 (머, 며) storybible 963
39 성경 용어사전 - 마 (므, 미) storybible 945
38 성경 용어사전 - 다 (도, 됴) storybible 897
37 성경 용어사전 - 나 (노, 뇨) storybible 86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Address: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77길 49 하림교회 (청담동 10번지)Tel: 02-456-3927Email: haezra@hanmail.net
Copyright 2000 스토리바이블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Nature with